중국 관영 매체는 29일(현지시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개최되는 한·미·일 정상회담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아시아 확장을 위한 이벤트라며 날 선 반응을 보였다.
뤼차오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한반도 문제 전문가는 28일 관영 글로벌타임스에 “반중 활동에 적극적인 일본에 비해 한국은 자제하고 있다”면서도 “나토의 아시아 확장에 미·일과 협력하는 것은 평화 및 안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익명을 요구한 베이징의 한 전문가는 “미국은 대부분 양자 관계인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동맹을 통합하고 다자 메커니즘을 구축하길 원한다”며 “그렇기 때문에 한국과 일본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이후 미국에 거의 무조건적으로 의존하는 정책을 채택했다”며 “한국은 미국과 교류함으로써 국제무대에서 위상을 높이고 싶어 하지만 그것은 한국의 국익을 해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한·중 관계를 경색시킨 주한미군 사드(THAAD) 배치와 한·일 독도 영유권 문제도 거론했다. 그는 “미국이 한국에 사드 추가 배치를 요구하면 한국은 북·중·러의 강력한 반발에 직면하겠지만 거절하기는 어렵다”며 “미국이 집단 내 협력을 위해 한국에 일본과의 영토 분쟁에서 희생하라고 요구하면 한국은 역시 딜레마에 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나토 정상회의 참석 차 마드리드를 방문한 윤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는다. 한·미·일 정상회담은 2017년 9월 유엔총회를 계기로 열린 뒤 4년 9개월 만에 개최된다. 대통령실은 군사동맹인 나토의 반중, 반러 기조에는 거리를 유지한다는 입장이지만 중국은 한·미·일 밀착을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이번 나토 정상회의의 키워드는 중국과 러시아다. 나토는 새로운 전략개념(Strategic Concept)에 중국을 구조적 도전(systemic challenge)으로 명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나토의 가치와 목적, 안보상의 도전과 이에 대한 정치·군사적 임무를 담고 있는 나토의 전략개념은 약 10년마다 새로 수립된다. 2010년 마련된 현재의 전략개념에 중국은 등장하지 않고 러시아는 파트너로 언급됐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