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염이 옮아붙은 옷을 벗어 던진 채 울먹이며 도망가는 모습으로 베트남전 참상의 상징이 된 ‘네이팜탄 소녀’가 50년 만에 화상 치료를 마무리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1일(현지시간) 사건 참상을 담은 사진의 주인공 판티 낌푹(59)이 이번주 미국 마이애미주의 한 피부과에서 12번째이자 마지막 레이저 치료를 끝냈다고 보도했다.
낌푹은 1972년 남부 베트남 마을에 떨어진 네이팜탄 공격으로 14개월간 입원 치료를 받았다.
네이팜탄은 섭씨 3000도에 가까운 열을 내며 낙하지점 반경 수십m를 불바다로 만드는 폭탄이다. 당시 미국은 무차별적 살상력을 지닌 비인도적 무기를 베트남전 등에서 사용해 많은 비판을 받았다.
낌푹은 네이팜탄에 입은 화상 때문에 퇴원 후에도 계속되는 고통과 싸우며 치료를 이어가야 했다. 낌푹은 “나는 이제 전쟁의 피해자가 아닌 생존자”라며 “50년이 지난 지금, 나는 친구이자 조력자, 어머니, 할머니 그리고 평화를 촉구하는 생존자다”고 말했다.
당시 낌푹의 모습은 사진기자 닉 우트에 의해 알려졌다. 네이팜탄으로 옷에 불이 붙자 낌푹은 공포에 질린 채 도로를 무작정 달리던 모습이 사진으로 남겨졌다. 이 사진은 원래 제목인 ‘전쟁의 공포’ 대신 ‘네이팜탄 소녀’로 더 유명해졌고 1973년 퓰리처상을 받았다.
낌푹은 전쟁이 끝난 뒤 지난 1992년 캐나다로 망명했다. 그는 ‘사진 속의 소녀’라는 자서전을 출간했으며 ‘낌 국제재단’을 만들어 전쟁을 겪는 아이들을 도왔다.
1997년 유네스코 유엔평화문화친선대사로 임명된 낌푹은 세계를 돌며 평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노혜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