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 피습사건 보도 당시 눈물을 흘려 중국 네티즌들에게 비난을 받아 온 일본계 중국 기자 쩡잉이 극단적 선택을 시도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2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일본 도쿄에 체류 중인 쩡잉이 지인들에게 유서를 남기고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했다고 전했다. 쩡잉의 친구이자 중국의 유명 작가 천란은 웨이보에 쩡잉의 유서를 공개하기도 했다.
쩡잉은 유서에서 “32세 나이에 세상을 떠나기로 결심했다. 2018년부터 우울증을 겪었으며 올 7월부터는 정상적인 삶과 일을 할 수가 없을 정도로 심해졌다”고 털어놨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문자를 받은 지인은 곧바로 일본 경찰에 신고했고, 쩡잉은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쩡잉은 지난 8일 생방송에서 아베 전 총리의 피습 사건과 일본 반응을 전하던 도중 울먹였다. 그는 “아베 전 총리는 더 많은 중국인이 일본을 관광할 수 있게 일본 문을 열었고 일본이 정치적, 군사적으로 미국에 덜 의존하도록 헌법을 개정하려 노력했다”며 아베 전 총리의 공적을 언급하기도도 했다.
이를 본 중국 네티즌들은 “왜 아베를 위해 우냐” “배신자”며 비난 여론을 쏟아냈다. 결국 쩡잉은 웨이보에 “개인적인 감정을 드러내 모든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했다. 프로답지 못했다”고 사과문을 올렸다.
앞서 아베 전 총리는 지난 8일 참의원 선거 유세 지원 중 총격을 받고 사망했다. 의사들이 쓰러진 아베를 응급처치를 한 후 헬리콥터로 병원으로 이송했으나 과다출혈로 숨졌다. 총격범 야마가미 테즈야는 경찰 조사에서 어머니가 통일교에 약 10억원의 돈을 헌납해 가정이 파산했는데, 아베 전 총리가 해당 종교와 연관이 있다고 여겨 범행을 저질렀다고 진술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