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센강으로 흘러들어왔던 벨루가(흰고래)가 10일(현지시간) 구조 작업 도중 숨졌다.
프랑스 북부 칼바도스 주(州) 당국은 트위터를 통해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구조 작전을 펼치던 중 고래가 죽었다는 소식을 안타까운 마음으로 전한다”고 밝혔다.
벨루가는 파리에서 서쪽으로 70㎞가량 떨어진 생피에르라가렌 수문에 갇혀있었다. 벨루가는 위스트레암 항구 인근 염수 유입 유역으로 트럭에 실려 이송되던 중 상태가 나빠졌다. 의료진은 소생 가망이 없다고 판단해 벨루가를 안락사했다.
이 벨루가는 길이가 4m, 무게는 800㎏ 정도였다.
수의사, 잠수부, 소방대원, 경찰 등으로 꾸려진 구조대는 전날 저녁부터 벨루가 구조작업을 펼쳤다.
잠수부 10여명을 투입해 벨루가를 그물에 안착시키는 데만 6시간 가까이 걸렸다.
이날 오전 4시 크레인을 이용해 벨루가를 물 밖으로 꺼냈다.
벨루가는 특수 냉장 트럭으로 옮겨졌고 아주 느린 속도로 항구로 이동하던 중 호흡에 어려움을 겪었다.
벨루가는 이동 중 공기가 부족해 눈에 띄게 고통스러워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프랑스 당국은 벨루가가 위스트레암 항구에 도착하면 자물쇠로 잠가놓은 우리 안에 넣어놓고 비타민 등을 투약해 건강 회복을 도운 뒤 바다로 돌려보낼 계획이었다.
벨루가는 지난 2일 센강에서 처음 발견됐다. 뼈가 겉으로 드러날 정도로 영양실조 상태였고 얼린 청어나 살아있는 송어를 건네도 입에 대지 않고 식음을 전폐했다.
차가운 북극해에서 주로 서식하는 벨루가가 따뜻한 남쪽으로 내려오는 일은 이례적인 일이다.
구조 활동을 도왔던 환경단체 시셰퍼드 프랑스지부는 벨루가의 소화기관이 활동을 멈춰 음식을 먹지 않았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셰퍼드 프랑스 지부는 “이번 이송 작전은 위험했지만 죽을 위기에 처한 벨루가에게 한 번의 기회를 주는 것은 필요했다”고 밝혔다.
프랑스 강에서 벨루가가 발견된 것은 1948년 루아르강에서 한 어부의 그물에 벨루가가 잡힌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