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尹 100일 연설에 日언론 “대립 피하며 징용 배상 추진”


일본 언론들이 윤석열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일제 강제노역 피해자 배상 문제와 한·일 관계를 언급한 것을 중점 보도하며 “일본과의 외교적 갈등을 피했다”고 평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7일 “일본이 우려하는 주권 문제의 충돌 없이 채권자들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는 윤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 발언을 소개하며 “윤 대통령이 일본과의 외교적 갈등을 피하면서 ‘보상’을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보도했다.

이어 “윤 대통령이 이 문제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언급한 것은 처음”이라며 “일본 기업의 자산을 현금화하는 것을 피하고 기업과 한국 정부가 투자한 자금이 배상금을 떠맡는 ‘대위상환’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미네기시 히로 니혼게이자이신문 논설위원은 윤 대통령의 이런 발언을 두고 별도의 기고를 통해 “일본 정부가 원칙적인 입장을 유지하면서 윤 대통령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가 원수인 대통령이 일본 기업의 주한 자산을 현금화시키지 않는다고 명언한 형태”라면서도 “(윤 대통령에겐) 여전히 혁신계 야당이 다수파인 국회의 벽이 서 있다. 야당을 움직이려면 국민의 설득이 필요하다. 일본 정부는 지지율 급락의 곤경 하에서 야당의 공격을 받는 윤 정권에 대해 가능한 범위에서 뒷받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본 내에서 보수로 분류되는 산케이신문도 이날 윤 대통령의 “한국과 일본이 미래지향적인 협력관계를 강화할 때 양보와 이해를 바탕으로 과거사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다”는 발언을 전하며 “윤 대통령이 한일 관계의 조기 개선에 의욕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산케이신문은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소송 최종 판결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일본 기업의 자산 매각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며 “원고들은 대일 외교를 우선시하는 윤석열정권에 반대하며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민관협의회 참석을 거부해 왔다”고도 전했다.

다만 일본 누리꾼들은 윤 대통령의 ‘한일 관계 개선’ 발언에도 한국 정부를 향한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한 일본 누리꾼은 기사 댓글 게시판에 “이제 와서 일본이 한국의 말을 믿을 리 없다”며 “현 대통령이 선심 쓰듯 이 문제에 종지부를 찍는다 해도 언제든 차기 정부에서 이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적었다.



서민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