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유럽 대륙 3분의 2가 말랐다… “500년 만에 최악” 진단


유럽 대륙의 3분의 2가 올해 기후변화로 극심한 가뭄 피해를 당했다는 진단이 나왔다. 500년 만에 최악의 가뭄 사태란 분석이다.

영국 BBC방송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산하 연구조직인 세계가뭄관측(GDO)이 보고서를 통해 올해 초부터 유럽의 수많은 지역에서 가뭄이 발생했다면서 이같이 분석했다고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일 현재 유럽은 47%가 가뭄 ‘경고’, 17%는 가뭄 ‘경계’에 해당했다. GDO는 가뭄 상태를 주의, 경고, 경계 등 3단계로 분류한다.

두 번째로 심한 가뭄을 의미하는 경고는 땅이 이미 말라붙은 상태를, 가장 심한 경계는 식물까지 악영향이 미치는 상태를 뜻한다.

EU 집행위는 이번 보고서를 토대로 유럽 가뭄이 “최소 500년 만에 최악인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첫 평가 과정일 뿐이며 추후 최종자료를 확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가뭄이 유럽 남부 일부 지역에서 앞으로도 수개월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유럽은 가뭄과 이로 인한 산불 등의 여파로 콩·옥수수·해바라기 위주의 여름철 농사가 이미 흉작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 공급을 줄이는 가뭄과 물을 더 빨리 증발시키는 폭염 때문에 유럽 전역의 수위 유지가 전례 없이 어려워졌다는 지적도 나왔다.

강줄기가 말라붙으면서 수력발전이 20% 감소해 가뜩이나 고조된 에너지 위기까지 악화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가뭄 상황이 더 악화된 국가로는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루마니아, 헝가리, 세르비아 북부, 우크라이나, 몰도바, 아일랜드, 영국이 꼽혔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