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지난 2년간 인플레이션을 주도한 주요 요인이 급증한 소비자 수요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문제를 원인으로 든 것과는 다른 분석이다.
2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줄리안 디 조반니 연구원은 이날 메릴랜드대, 하버드대와 공동 연구해 발표한 논문을 자신의 블로그에 게재했다.
논문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2021년 사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미국 인플레이션의 약 60%는 모든 유형의 제품에 대한 더 높아진 소비자 수요가 원인으로 분석됐다. 나머지 40%는 공급 충격이 원인이었으며, 연구에서 확인한 66개 산업 부문 중 58개 부문이 공급 제약을 겪고 있었다.
연구원들은 미국에선 수요 충격이 인플레이션에 더 큰 역할을 한 반면, 유럽에선 공급망 병목 현상이 인플레이션을 부추기는 데 더 큰 역할을 했다고 진단했다. 많은 경제학자들은 팬데믹 기간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인플레이션을 부추기는 핵심 요인이라고 지적한 것과 부합하는 결과다.
디 조반니 연구원은 “최근 공급망 충격이 완화되고 있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며 “미국 물가상승률에 좋은 소식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에너지 충격 등 변수가 없을 경우 공급망 병목 현상이 완화되면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이 크게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