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소비에트 연방(소련)의 마지막 지도자인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이 오랜 투병 끝에 사망했다고 타스, 스푸트니크 통신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향년 91세.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 임상병원은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이 오랜 투병 끝에 이날 저녁 사망했다”고 밝혔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1985년 소련 공산당 서기장으로서 집권한 이래 전제주의적 사회주의 체제를 무너뜨린 페레스트로이카(개혁)와 글라스노스트(개방) 정책을 추진했다.
그는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와 이듬해 동서독 통일을 사실상 용인해 서방에서 냉전 해체의 주역으로 높이 평가받는다. 1989년 민주화 시위가 동유럽 공산주의권 국가를 휩쓸 때 과거 이들 국가에 대한 무력 개입을 정당화한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폐기하면서다.
그해 12월에는 조지 부시 당시 미국 대통령과 몰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2차 세계대전 이후 반세기 동안 계속된 냉전의 종식을 공식 선언했다. 그는 이 공로로 이듬해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냉전체제를 종식했다’는 평가와 함께 소련의 해체를 초래한 장본인으로 동구권을 서방에 넘겨준 ‘배신자’라는 혹평도 받았다. 준비되지 않은 급진적 개혁으로 경제난과 함께 소련의 해체라는 결과로 이어졌다는 지적이었다.
그는 1989년 소련의 초대 대통령이 되지만 1991년 8월 보수파의 쿠데타 이후 급격히 권력 기반을 잃었다. 결국 소련이 1991년 12월 해체되면서 고르바초프는 완전히 권력을 상실했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1990년 6월에는 미수교 상태에서 당시 노태우 대통령과 미국 뉴욕에서 사상 첫 한·소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는 한국 북방외교의 최대 성과로 꼽히는 한·소 수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그는 이후 다시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지만 득표율은 미미했다. 최근에는 모스크바 외곽의 전원주택인 다차(dacha)에서 여생을 보내고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