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전기차·반도체 이어… 바이든 “바이오도 미국서 제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의 바이오 제조 역량을 높이는 ‘생명공학·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반도체와 전기차, 배터리에 이어 바이오산업까지 ‘메이드 인 아메리카’를 확대한다는 것이다.

미 백악관은 12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을 공개하며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분야 연구 및 개발을 발전시키고, 국내 제조 역량과 탄력적 공급망 확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명령은 미국에서 발명된 생명공학이 미국에서 제조되도록 연방정부에 지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백악관은 “미국은 외국 원료와 바이오 제조에 너무 많이 의존해 왔다”며 “우리의 과거 핵심산업에 대한 ‘오프쇼어링(생산시설 해외 이전)’은 중요 화학물질과 의약품 성분 등 원료에 대한 접근 능력을 위협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이니셔티브는) 일자리를 창출하고, 더 강력한 공급망을 구축하며, 미국 가정을 위해 가격을 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가 ‘반도체지원법’ ‘인플레이션 감축법’과 마찬가지로 중국을 견제하고 자국 산업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책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미 고위 당국자도 “생명공학 혁신을 전환하지 않는다면 반도체나 첨단 통신 분야에서처럼 뒤처질 위험이 있다. 특히 중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은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며 “우리가 행동을 취하지 않으면 미국의 리더십과 경쟁력에 위험을 초래한다”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의 바이오 생산을 확대하고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는 것”이라며 “미국은 과거 생명공학 분야의 해외생산을 허용해왔지만, 중국의 첨단 바이오 제조 기반 시설에 대한 의존도를 우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백악관은 14일 국가 생명공학·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회의를 개최하고 구체적인 투자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보스턴에서 미국 내 암 사망률을 25년 내 절반 이하로 낮추는 ‘암 문샷’(cancer moonshot) 연설에서 “기술을 증진하고 생명을 구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우리는 향상된 생명공학을 이곳 미국에서 제조해야 한다”며 “이날 조치는 생명공학과 바이오제조에서 미국이 세계를 선도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