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사우디, 두고 보자’ 굴욕 당한 바이든, 관계 재설정 검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 등 주요 산유국의 감산 결정을 주도한 사우디아라비아와 관계 재검토를 고려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우디는 감산 결정을 늦춰달라는 미국의 직접 요청을 받고서도 이를 무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양국 모두 상대국에 대한 감정적 불만까지 드러내며 반발하는 상황이어서 관계 악화가 극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관은 11일(현지시간) CNN 방송에서 “OPEC 플러스(OPEC+)의 감산 결정과 관련해 대통령은 사우디와의 양자 관계를 재평가하고 그것이 필요한 지점에 있는지, 우리 국가 안보에 도움이 되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커비 소통관은 “대통령은 감산 결정에 실망했고, 향후 사우디와 관계가 어떤 형태가 되어야 할 지에 대해 의회와 공조하고 싶어한다”며 “많은 의원이 우려를 표명한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이 곧 (의회와) 대화에 나설 것”이라며 “오래 걸릴 사안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실제 민주당 지도부 내에서도 사우디에 대한 불만이 가득하다. 민주당은 특히 사우디의 감산 결정이 러시아를 돕기 위한 것이라는 논리를 내세우며 비난을 이어가고 있다. 로버트 메넨데즈 미 상원 외교위원장(민주·뉴저지)은 전날 성명을 통해 “사우디가 원유 감산을 통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원하고 있다”며 무기 판매를 포함한 사우디와 모든 협력 중단을 촉구했다. 상원 민주당 원내총무인 딕 더빈도 “사우디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승리하기를 원했다. 미국에 맞서는 건 푸틴과 사우디뿐”이라며 “한 번도 미국의 진정한 동맹인 적이 없었다”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OPEC+ 감산 결정 며칠 전 미국 정부 관리들은 사우디와 주요 산유국 카운터파트들에 전화를 돌려 ‘다음 회의로 감산 결정을 미뤄달라’는 긴급 요청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사우디 등으로부터 ‘결코 안 된다(No)’는 단호한 답변을 받았다고 이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들이 WSJ에 밝혔다. 감산 결정을 늦춰달라는 미국 요구를 대놓고 무시한 셈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지난 7월 직접 사우디까지 방문했지만 아무것도 얻지 못한 것이어서 외교력에 대한 비판까지 받게 됐다.

무함마드 왕세자 측도 미국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다. WSJ는 바이든 대통령이 사우디 방문 때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건에 대한 사우디 왕가와의 개인적 대화 내용을 공개한 데 대해 무함바드 왕세자가 분노했다고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사우디는 바이든 행정부의 이란 핵합의 복원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소식통은 무함마드 왕세자가 “바이든 행정부를 위해 많은 것을 희생하고 싶지 않다”는 언급까지 했다고 전했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사우디와 군사 협력을 중단하거나 OPEC에 대한 직접 타격을 가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미 톰 맬리나우시키, 숀 케이스튼, 수잔 와일드 등 민주당 하원의원은 90일 이내에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에 있는 미군 병력과 고고도미사일방어시스템(사드) 및 패트리엇미사일 등 장비를 철수하도록 하는 법안을 발표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석유 생산 및 수출 금지법(NOPEC)을 통해 OPEC 자체를 목표로 삼을 수 있다”며 “법무부에 독점 금지 위반 및 시장 조작에 대한 석유 카르텔을 고소할 수 있는 권한을 명시적으로 부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사우디와의 군사협력 중단은 이란에 대한 미국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OPEC에 대한 공격은 휘발유 가격 추가 상승을 불러올 수 있어 부담이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논평이 사우디에 대한 경고인지, 사우디에 약하다는 내부 비판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며 “공식적인 (관계) 검토를 위한 팀은 아직 구성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