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한은 총재 “주요국 킹달러 역효과 우려, 통화스와프 만병통치약 아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에너지 및 식량 가격 인상과 달러 강세로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을 요청한 국가가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세계 주요국들도 미국의 강달러 기조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spillover·스필오버)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15일(현지시간) 워싱턴DC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에서 열린 특파원단과 간담회에서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등은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높아서 당분간 물가안정을 위해 계속 금리를 올리는 추세를 가져가야 하고, 조급하게 이를 멈추면 비용이 클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동시에 그런 정책이 미치는 여러 스필오버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이번에 참석한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합동 연차총회’에서도 강달러 스필오버가 주요 논의 주제였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현재 금리 인상으로 인한 달러 강세가 과거와 달리 석유 등 에너지 가격 인상과 함께 진행되고 있어서 달러 외채가 많은 국가나 저소득국 고통이 특히 심하다고 말했다. 그는 “저소득국은 식량·에너지 가격 급등과 강달러로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최근 IMF 구제금융을 요청한 나라가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또 “아시아에서는 요청한 나라가 거의 없었는데 지금 많이 준비한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 총채는 또 “영국 연기금 사태에서 보듯 스필오버가 순채권국 등 예상치 못한 곳에서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며 “특히 비(非)은행 금융기관의 리스크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도 국내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와 여신전문금융회사에 대해 최근 점검했고, 아직은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연차총회에서 인플레이션의 가장 큰 원인인 에너지와 식량 가격 상승을 해결하려면 근본 원인인 우크라이나 전쟁이 빨리 끝나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안타깝게도 당장 눈앞에 해법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라며 “정책을 하는 입장에서는 전쟁이 상당 기간 갈 수도 있다는 게 전제가 되어야 하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다른 나라에 대한 미국의 배려가 부족한 게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은 기본적으로 자국 인플레이션 등 상황을 우선하는 것이어서 거기서 벗어나라고 요구할 수 없다”고 말했다. 다만 “과거 경험이나 달러가 차지하는 위치를 볼 때 (미국도) 해외에 미치는 스필오버와 그로 인한 스필백(spillback·역파급)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미 통화 스와프에 대해서는 “스와프가 우리의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만병통치약은 아니다”며 “상시 스와프를 체결한 나라도 환율이 다 절하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스와프는 미 연준이 결정하고, 우리는 글로벌 유동성 상황이 변화할 때 미국이 올바른 결정을 할 수 있게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또 한은이 보유 중인 미 국채를 담보로 미 연준으로부터 달러화 자금을 조달하는 방안인 ‘피마 레포(FIMA repo)’ 활용 가능성에 대해 “2008년 금융위기 등을 겪으면서 많은 안전장치와 도구를 마련해 뒀다”며 “지금은 쓸 필요도 없지만, 상황이 오면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미국의 경기 전망과 관련해선 “두 달 전보다는 경착륙 가능성이 커진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라며 “얼마나 나빠질지 의견은 굉장히 다양한 스펙트럼이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