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친러 행보 이란, 미사일·교관까지 제공…러·이란 반서방연대 가속화


러시아가 이란제 자폭 드론으로 우크라이나를 전방위로 타격한 가운데 이란이 러시아에 미사일·드론 추가 지원을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란은 드론 조작 교관도 크림반도에 파견하는 등 두 나라는 더 밀착하는 모습이다. 서방은 대이란 제재안 마련에 돌입했다.

로이터통신은 18일(현지시간) 이란의 모하마드 모흐베르 수석 부통령이 지난 6일 모스크바를 방문해 러시아군에 지대지 미사일과 드론을 추가로 제공하기로 합의했다고 복수의 이란 외교 당국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란에 제공하기로 한 미사일은 ‘파테110’와 ‘졸파가르’로 300~700㎞ 거리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는 지대지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다. 한 이란 외교관은 “러시아가 더 많은 드론과 정확성이 개선된 미사일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추가로 공급하기로 한 드론 중에는 최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공습에 쓰인, 별명이 ‘가미카제’인 샤헤드136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뉴욕타임스(NYT)는 “자폭 드론 지원은 미국에 대한 적대감을 바탕으로 한 러시아와 이란의 동맹을 상징한다”면서 “서방과 갈등하며 국제적으로 고립된 국가끼리 미국을 큰 적으로 규정하고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란은 또 러시아군 조종사의 드론 조작을 지원하기 위해 자체 교관들을 크림반도 지역에 파견했다고 NYT가 전·현직 미국 당국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드론 훈련은 애초 러시아가 이란에 인력을 보내 조작법을 배우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나 초기 투입된 드론이 조종 실수 등으로 저조한 성과를 내자 이란이 교관을 파견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NYT는 최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전방위 드론 공격을 강화한 시점과 이란 교관이 크림반도에 배치된 시점이 일치한다는 점에서 이란이 전쟁에 더 깊게 관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믹 멀로이 전 미 국방부 차관보는 “이란은 드론을 공급하고 훈련 교관을 파견함으로써 민간인 살상 작전에 직접 개입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란의 무기지원이 러시아에 불리한 전황을 반영한다는 평가도 있다. 러시아는 19일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 점령지에서 고전 끝에 주민들에게 대피령을 내렸다. 러시아 합동군 총사령관인 세르게이 수로비킨은 전황과 관련해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며 “러시아군은 향후 신중하게 행동하되 복잡하고 어려운 결정도 배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러시아 타스통신에 말했다. 대피령으로 주민 5만~6만명이 러시아 지역으로 이주할 예정이며 이주는 약 6일이 걸릴 전망이다.

우크라이나는 이란이 러시아에 무기를 공급한 점을 문제 삼아 이란과 단교를 추진하고 있다.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이날 단교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정식으로 제안했다. 쿨레바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키이우 공습에 사용된 무기가 이란산이라는 광범위한 증거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미국 등 서방은 러시아와 거리를 좁히고 있는 이란을 상대로 추가 제재를 예고했다. 미국 영국 프랑스는 이란의 무기 제공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2231호)을 위반했다고 보고 19일 안보리 회의에서 이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결의는 2015년 체결된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이행을 위해 이란이 특정 무기를 반출하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