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 2년간 10억 달러·한화 1조 4000억여원 이상의 암호화폐 등을 탈취해 무기 개발에 사용했다고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이 밝혔다.
마요르카스 장관은 18일(현지시간) 싱가포르에서 열린 행사 연설에서 “북한이 지난 2년 동안에만 10억 달러가 넘는 암호화폐 등의 사이버 탈취를 통해 대량살상무기(WMD)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했다”고 말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보도했다.
VOA에 따르면 마요르카스 장관이 “북한은 여러 국가 기관을 대상으로 사이버 강탈을 자행했고 대부분 처벌을 피해갔다”고 지적했다.
마요르카스 장관은 또 “러시아, 이란, 북한, 중국과 같은 적대 국가들과 전 세계사이버 범죄자는 더 교묘해지고 더 부정적인 결과를 낳고 있다”면서 “이들의 사이버 작전이 경제와 국가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미 연방수사국(FBI)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컴퓨터를 해킹해 작동 불능으로 만들거나 데이터를 빼낸 뒤 금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 공격이 2500건 이상 벌어졌다.
마요르카스 장관은 북한도 이런 목적으로 해킹 범죄를 벌였으며 미국은 한국, 유럽연합(EU)과 랜섬웨어 실무그룹을 가동해 공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암호화폐 분석회사 체이널리시스는 올해 발생한 암호화폐 탈취 사건의 60% 정도가 북한 연계 해커들의 소행인 것으로 추산했다.
앞서 앤 뉴버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사이버·신흥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지난 7월 “북한은 사이버 활동을 통해 미사일 프로그램에 필요한 재원의 최고 3분의 1을 충당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노혜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