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초단기 3개월 물 국채가 10년 물 금리보다 높은 장단기 수익률 곡선 역전 현상이 벌어졌다. 1년 내 경기침체를 알리는 또 다른 강력한 신호가 등장한 것이다. 메타 등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저조가 이어지며 관련 주가 폭락도 이어졌다.
26일(현지시간) 미 국채시장에서 3개월 물 금리는 뉴욕증시 마감시간 기준 4.027%로 10년 물 금리 4.007%를 넘어섰다. 3년 물과 10년 물 금리는 이날 내내 역전됐고, 금리 차는 0.03% 포인트 가까이 벌어지기도 했다. 3개월 물과 10년 물은 지난 24일과 25일 장중에도 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했다.
2년 물 국채 금리는 지난 7월 이미 10년 물 금리를 역전했다. 이후 1년 물, 6개월 물도 10년 물 금리를 뛰어넘었고, 이제 초단기 3개월 물까지 장기물 금리를 넘어섰다.
단기물 금리가 장기물보다 높아진 건 곧 경제성장이 둔화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낮출 것으로 보는 시장 예측이 커졌다는 의미다. 블룸버그는 “3개월 물과 10년 물 수익률 곡선의 역전은 과거의 경기 침체를 예고해 왔다”며 “(팬데믹이 시작됐던) 2020년 3월에도 최대 0.28% 포인트까지 역전됐다”고 설명했다. 경제학자 아르투로 에스트레야도 “1960년대 이후 3개월물과 10년물 국채 금리가 역전된 후 6∼15개월 안에 경기침체가 시작됐다”고 말했다.
빅테크 기업들의 저조한 실적도 현실화하고 있다.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의 3분기 순이익은 44억 달러로 지난해 동기(92억 달러)보다 52% 감소했다. 절반 이하로 쪼그라든 것이다. 매출도 227억1000만 달러로 같은 기간보다 4% 줄었다.
메타 주가는 이날 약 20% 폭락했다. 전날 실망스러운 실적을 발표한 구글 모회사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프트(MS)도 각각 9.63%, 7.7% 떨어졌다
올겨울부터 미국 경제성장률 둔화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미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이 실시간으로 미국 국내총생산(GSP) 전망을 집계하는 ‘GDP나우’는 이날 3분기 실질 성장률을 3.1%로 예상했다. 27일 공식 발표되는 3분기 성장률이 지난 1·2분기 마이너스 성장에서 벗어날 것이라는 예측이다.
그러나 CNN은 “GDP수치에 속지 말라”며 “수출입 격차가 줄면서 발생하는 반짝 반등”이라고 지적했다. 인플레이션으로 수요가 줄면서 수입이 줄었고, 연방 재정 적자가 감소해 정부 지출이 감소한 착시현상이라는 의미다. JP모건 자산운용의 데이비드 켈리 수석 글로벌 전략가는 “4분기 성장은 마이너스로 바뀔 수 있고, 내년에는 (성장률이) 매우 약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공개된 미국의 9월 신규 주택 판매는 전달보다 10.9%, 1년 전보다 17.6% 줄어들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