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금리 인상에 부동산경기 하락 속 '새 집 판매' 11% 감소

미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가 20여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지난달 신규주택 판매도 10%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26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상무부는 이날 9월 신규주택 판매(계절조정·연율 환산 기준)가 60만3천채로 이전 달보다 10.9%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4월 12.4% 줄어든 이후 최대 감소폭이며, 올해 들어서 벌써 네 번째 기록한 두 자릿수 감소율이다.

전년 동월 기준으로는 17.6%로 감소 폭이 더 컸다.

지난달 단독주택 착공 건수도 전년 동기보다 18% 줄어들었다.

반면 지난달 신규주택 판매가격 중간값은 47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13.9% 상승했다.

이는 고가 주택 판매 비중이 커졌기 때문으로, 건설사들이 늘어난 재고 주택을 매각하기 위해 가격 인하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어서 신규주택 판매가격도 향후 하락세로 돌아설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미 주요 도시들의 평균 집값 추세를 측정하는 8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는 전월보다 0.9% 하락해 이미 두 달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WSJ은 기존주택 판매가 8개월 연속 감소한 데 이어 신규주택 판매도 급감하는 등 주택시장이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어 앞으로 신규주택 판매량이 더욱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미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20여년 만에 7%를 넘어섰다.

미 모기지은행협회(MBA)가 집계한 30년 만기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의 평균 금리는 지난주 한주 새 0.22%포인트 상승해 7.16%로 올라섰다.

이 같은 수치는 200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준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공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올해 초의 3.1%에 비해 2배 이상 올랐다.

지난 15∼21일 한 주 동안 주택 구매를 위한 주택담보대출 신청 건수도 전년 동기보다 42%나 급감했다.

주택건설업협회(NAHB)가 집계하는 주택 건설업 체감경기 지표인 주택시장지수(HMI)도 이번 달에 38로 10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2020년 5월 이후 최저치까지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