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바이든, 아세안과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아세안(ASEAN)과의 관계를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로 격상했다.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기 위한 동맹 강화 전략 일환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제10차 아세안·미국 정상회의 후 양국 관계를 격상하는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은 “‘인도·태평양에 관한 아세안의 관점’(AOIP)과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은 개방되고 포용적인 규칙 기반의 역내 구조를 장려하는 데 있어 기본 원칙을 공유한다”고 밝혔다. 성명은 유엔해양법협약(UNCLOS) 등 국제사회가 인정하는 국제법 원칙에 따라서 항행과 비행의 자유를 보장함으로써 아세안 주도 해양 협력을 촉진하고, 장려한다고 강조했다.

성명은 또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인도, 호주, 뉴질랜드가 참여하는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ADMM-Plus)를 통해 인도적 지원, 재난 구호, 해양 안보, 대테러, 평화유지, 군 의료, 지뢰 제거, 사이버 안보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이번 격상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2015년 양자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로 바꾼 지 7년 만이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고립주의에서 벗어나 외교 복원을 통한 중국 견제에 나서는 것이다. 중국과 호주는 지난해 이미 아세안과의 관계를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로 격상했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그레고리 폴링 동아시아 선임 연구원은 “바이든 행정부가 정상적인 외교로 돌아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방법”이라며 “아시아에서는 (직접) 얼굴을 보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아세안 정상들과 만나기 전에 훈센 캄보디아 총리에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한 데 대해 감사의 뜻을 표했다. 또 레암 해군기지 상황에 대해 우려를 제기하고 해군기지에서 중국군의 활동을 완전히 투명하게 밝히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레암 해군기지 북쪽에 비밀 해군기지를 조성 중이라고 미 언론이 보도한 바 있지만, 캄보디아는 이를 부인했고 중국도 자국 원조 하에 캄보디아 해군 기지를 현대화하고 있다고 해명한 바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아세안은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의 중심부에 있다. 계속해서 우리의 역할을 강화하겠다”며 “미국과 아세안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자유와 안정 및 번영과 안전을 증진하는 동시에 기후변화 및 법치 위협 등 현안에 공동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아세안 정상회의 의장국을 맡은 캄보디아에 감사를 표하면서 이를 콜롬비아로 잘못 말하기도 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