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한 긴축 정책의 파급효과를 인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달러 강세로 인한 저소득 국가의 부채 문제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옐런 장관은 13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은 경제적 도전에 대한 대응으로 빚어진 스필오버(spillover·파급효과)를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했다.
옐런 장관은 그러면서 “우리 정책에는 스필오버가 있다. 다른 많은 국가가 달러 강세가 환율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걱정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 “우리는 저소득 국가들의 부채에 대해 매우 염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미국이 취한 긴축재정 기조가 달러 강세로 이어졌고, 그에 따른 저소득 국가의 부채 위기를 인지하고 있다는 의미다.
옐런 장관은 다만 “전 세계 경제를 괴롭히고 있는 문제가 국가별로 매우 다양하다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이라며 지금 상황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는 다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에는 국가들이 뭉쳐서 ‘재정 부양책이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었다”며 “그러나 지금은 국가마다 재정 여력이 다르고 인플레이션 압력도 다르다”고 말했다.
옐런 장관은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대러 제재가 일부 지속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받아들일 만한 제안을 하는 노력을 전혀 하지 않았다. 평화협상의 내용에 따라 제재도 조정돼야 한다”며 “지금 벌어진 일들을 고려하면 일부 제재가 유지돼야 할 것 같은 느낌”이라고 지적했다.
옐런 장관은 종전 후에도 계속될 제재의 종류나 성격, 이를 완전히 해제하기 위한 조건 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러시아가 평화협상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국제사회가 공감할만한 내용의 협상안이 도출돼야 제재가 철회될 수 있음을 경고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옐런 장관은 러시아 원유 가격 상한제에 대해 “분명히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우리는 전략비축유를 쓸 수도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가 서구 국가에 대한 원유 수출을 중단하는 등 반발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러시아의 반응을 예측하기 힘들다. (그러나) 러시아도 수입이 필요한 만큼 원유를 팔지 않고 버틸 여유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