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영국 물가 상승률 11.1%… 41년 만에 최고


에너지 요금과 식품 가격 인상으로 영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영국 통계청(ONS)은 16일(현지시간)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1.1%로 1981년 10월 이후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9월 기록한 10.1%보다 1% 포인트 올랐다. 로이터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10.7%)보다도 높았다.

ONS는 “지난 1년간 에너지 가격이 가스는 약 130%, 전기는 66% 치솟았다”며 “정부가 에너지 요금을 통제하지 않았으면 물가 상승률이 13.8%까지 올라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 정부는 앞서 각 가정에 부과되는 연평균 에너지 요금을 2500파운드(약 400만원)로 제한했다. 품목별로 식품과 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이 16.4%로 1977년 이후 가장 높았다.

다만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하고 측정한 근원 물가 상승률은 6.5%로 9월과 같은 수준에 머물렀다.

제러미 헌트 재무장관은 코로나19 후폭풍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영국을 포함해 세계적으로 물가가 상승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헌트 장관은 “재정을 책임감 있게 운용해서 중앙은행이 물가 상승률을 목표 수준으로 낮추도록 돕는 것이 정부의 임무”라며 “세금과 지출과 관련해 어렵지만 필요한 결정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헌트 장관은 17일 예산안을 발표하고 증세와 지출삭감 계획 등을 발표한다.

반면 미국은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이어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상승세가 둔화하는 모습이다. 미 노동부는 10월 PPI가 전달보다 0.2%, 지난해 같은 달보다 8.0% 각각 올랐다고 15일 밝혔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로는 4개월 연속 둔화세를 이어갔다. 지난 9월 상승률은 8.4%였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0.4%)를 밑돌았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인플레이션 완화가 시작됐다는 또 다른 지표”라고 강조했다. 최근 발표된 10월 CPI도 시장 전망치보다 낮은 7.7%였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