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대대적 단속에 기습 시위 충돌… 더 살벌해지는 중국


중국 당국의 집회 원천 봉쇄에도 불구하고 광둥성 광저우에서 또 다른 봉쇄 반대 시위가 벌어져 시민들과 진압 경찰이 격렬하게 충돌했다. 중국 공안은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참가자에 대한 대대적인 색출에 나섰다.

로이터통신과 CNN은 30일 트위터 등에 공개된 영상을 인용해 전날 밤 광저우 하이주구에서 새로운 시위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시위 참가자들은 철제로 된 봉쇄 차단막을 앞세워 전진했고 흰색 방호복을 입은 경찰 수십명이 방패를 들고 앞에서 날아오는 물체를 피해 움직였다. 사람들이 최루탄 연기를 피해 사방으로 흩어지는 모습도 영상에 담겼다.

트위터 등에는 시위가 29일 밤 벌어졌고 봉쇄 조치에 대한 반발로 촉발됐다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다만 로이터통신은 해당 영상이 하이주구에서 촬영된 것임을 확인했지만 찍힌 시점과 전후 사정은 파악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하이주구 시민들은 2주 전에도 봉쇄 차단막을 부수며 시위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AP통신은 중국인들의 봉쇄 반대 시위를 지지하는 연대 집회가 미 하버드대 등 여러 곳에서 열렸다고 보도했다.

중국 공안 당국은 현장 채증 영상과 휴대전화 위치추적 등을 동원해 시위 참가자를 잡아들이고 있다. 베이징의 한 주민은 로이터에 “시진핑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 영상을 인터넷에 올린 친구가 경찰에 끌려갔고 다시는 그러지 않겠다는 각서를 쓴 뒤에야 풀려났다”고 전했다. 베이징 시위에 참여했던 한 대학생은 경찰이 휴대전화 추적을 통해 자신의 동선을 확인했다는 사실을 학교 측으로부터 전해 들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저장성의 한 학생은 SNS 채팅방에서 백지 시위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지 몇 시간 만에 경찰에 불려가 조사를 받았다. 중국은 어디에나 안면 인식 기술이 장착된 CCTV가 설치돼 있고 경찰은 영장 없이 개인의 휴대전화와 SNS 계정에 접근할 수 있다.

경찰이 지하철 안에서 시민들의 휴대전화를 검사하는 영상도 SNS에 올라왔다. 중국에서 가상사설망(VPN) 없이 이용할 수 없는 텔레그램이나 트위터 등을 통해 시위 정보를 주고받았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당국은 시위 차단에도 주력하고 있다. 백지 시위가 벌어졌던 베이징 량마차오 일대를 비롯해 사람들이 모일 만한 도심 곳곳에 경찰차가 100m 간격으로 배치됐고 순찰이 강화됐다. 사법 업무를 총괄하는 공산당 중앙정법위원회는 지난 28일 회의에서 “적대 세력의 침투 및 파괴 활동과 사회질서 교란 행위를 결연히 타격할 것”이라며 강경 대응을 시사했다.

시위 이후 과도한 방역을 개선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광저우는 이날부터 방역 관리 구역을 모두 해제하고 자가 예방을 원칙으로 한다는 통지문을 발표했다. 유전자증폭(PCR) 검사 주기를 늘리고 밀접접촉자의 자가격리를 허용하는 움직임도 확산하고 있다. 저장성 선전부는 전날 “방역은 질병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지 사람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는 내용의 발표문을 냈다. 방역 지상주의에 일침을 가하는 내용이지만 결국은 제로 코로나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