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빅테크 기업 등 대기업에 구조조정 한파가 불고 있다. 이들 중 사무직 화이트칼라 정규직 노동자들이 감원 칼날의 최대 피해자가 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은 전체 직원의 3%, 약 1만명을 감원한다. 감원 분야는 판매·디바이스·인사 파트에서 감축을 집중하고 있다. 직원 수가 수십만명에 이르는 물류센터 부문 감원은 많지 않다.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SNS)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는 전체 직원의 13%, 1만1000명을 감축 예정이다. 채용과 영업팀 규모가 감원 대상이다.
포드자동차와 월마트, H&M 등도 감원하고 있는데 생산직과 판매직이 아닌 풀타임 사무직 대상의 구조조정이 이어지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민간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의 자료를 인용해 지난달 미국에서 전문사무서비스업, 금융업, 정보서비스업을 모두 합해 13만6000개의 일자리가 줄어들었다고 보도했다. 채용정보사이트 잡리쿠터는 경기침체 등 시장 전망에 대한 우려가 커져 6월 이후 IT분야 채용 공고가 36% 감소했다고 밝혔다. 경원지원에서는 32%, 연구와 법률 분야에서는 31%가 줄었다.
동기대비 여행업종 구인광고는 오히려 늘어났다. 식품과 소매업종 구인은 감소 폭이 4~5% 정도에 그쳐 사무직 감원 대비 격차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WSJ는 ‘철밥통’으로 불리는 사무직이 불황 우려 속에서 다른 업종과 비교해 크게 타격을 입고 있다고 분석했다. 과거 경기 침체에는 광업, 제조업, 건설업 등 자본집약적 산업에서 먼저 대량 해고가 시작돼 뒤이어 저임금 업종과 여행과 항공업 같은 경기에 영향을 크게 받는 민감업종이 뒤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 감원은 코로나19 펜데믹으로 특수를 누렸던 빅테크 업종에서 이뤄지고 있다. 펜데믹 당시 전문 인력을 끌어모아 덩치 불리기에서 나섰던 기업들이 경기 침체 전망에 다시 덩치 줄이기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