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에서 민간인 학살을 저지른 러시아가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퇴출당한 가운데, 북한은 이에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혔다.
김성 주유엔 북한대사는 7일(현지시간) 유엔총회 긴급특별총회에서 러시아의 인권이사회 이사국 자격을 정지하는 내용의 결의안 표결에 앞서 발언을 신청해 “우리는 객관성과 공정성, 투명성이 부족한 정치적 책략을 거부한다”고 말했다.
김 대사는 “우리는 일부 국가가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정치적이고 평화적인 해법을 추구하는 대신 회원국들 사이에서 대립과 불신을 계속 추구하는 데 대해 매우 우려한다”며 결의안을 내놓은 미국을 겨냥했다.
미국은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부차 등의 도시에서 수백명의 민간인을 학살했다는 증거가 공개되자 러시아의 유엔 인권이사회 퇴출을 추진하고 나섰다.
김 대사는 ‘부차 학살’ 사건에 대해선 “독립적인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며 “이번 결의안과 같이 정치적이고 일방적인 조치는 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우크라이나에서 인도주의적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러시아의 노력을 주목한다”며 인권이사회 퇴출 결의안의 부결을 호소했다.
북한은 앞서 3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는 유엔총회 결의안 2건에 대해서도 반대표를 행사한 바 있다.
러시아의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 자격을 정지하는 결의안은 이날 유엔총회에서 찬성 93표, 반대 24표, 기권 58표로 가결됐다. 표결에 불참하거나 기권한 나라를 제외한 유엔 회원국 중 3분의 2 이상이 결의안에 찬성함에 따라 러시아는 인권이사국 자격을 박탈당하게 됐다.
이로써 러시아는 지난 2011년 반정부 시위대를 폭력 진압한 리비아에 이어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쫓겨난 두 번째 나라가 됐다.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이 유엔 산하 기구에서 자격 정지된 것은 러시아가 처음이다.
미국이 추진한 이번 결의안에 서방 국가들과 한국 등이 찬성표를 던진 반면, 북한을 비롯해 중국 이란 베네수엘라 등 친러시아 성향 국가들은 반대표를 행사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