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중국인 목에 옐로카드” 들끓는 中… “차별조치 아닌데”


중국 관영 매체가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이 인천국제공항을 내린 뒤 목에 노란색 카드를 걸어야 하고 군인이 따라붙는 등 차별 대우를 받았다는 SNS 풍문을 바탕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한국 정부가 중국인 코로나19 확진자를 열악한 시설에 격리하고 다른 외국인과 구별한다는 주장까지 나왔다. 방역 당국은 “차별 조치는 없다”며 관련 논란이 과장된 것이라고 일축했다.

11일 중국 인터넷매체 펑파이(澎湃)는 “한국이 중국 여행객에게 ‘옐로카드’를 걸었다. 최후에 퇴장당할 사람은 누구인가”라는 제목으로 중국발 입국자 검역에 불만을 제기했다.

관영 환구시보는 이날 사설에서 “황색 카드를 목에 걸게 하고, 마치 범죄자처럼 지정구역으로 끌고 갔다”며 “한국은 누리꾼 폭로에 합리적인 해명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펑파이는 “한국에 입국한 뒤 일련의 불합리한 대우를 받은 누리꾼의 폭로가 이어진다”며 “황색 카드를 목에 걸고 지정장소에서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았는데 이런 ‘대우’는 단지 중국인만 겨냥했다”고 강조했다.


공항에서 한국 기자들이 중국인 입국자를 집중적으로 사진 촬영한 것에 대한 불쾌감도 드러냈다. 이 매체는 “일부 국가에서 중국인 여행객에 입국 검사와 검역을 강화했지만 한국만이 차별적 행동을 했다”고 했다.

중국 최대 SNS 웨이보에서는 ‘#네티즌 한국 입국 후 노란 카드에 집단 촬영’이라는 해시태그가 하루 만에 2억4000만건이 넘는 클릭수를 기록했다. ‘#방한 중국 여행객에 황색 카드’라는 태그도 1억건 넘게 조회됐다.

‘노란색 카드’ 차별 논란에 대해 방역 당국은 “공항검사센터로 가는 길 안내를 위해 노란색 목걸이를 이용하며, 이는 중국 국적자뿐만 아니라 모든 국적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반박했다. 중국발 항공기 탑승객 모두에게 강화된 방역을 적용하기 위해 예외 없이 하는 조치이고, 중국인을 특정해 차별하는 게 아니라는 취지였다.

방역 당국은 실제로 이날 공항에서 노란색 카드를 목에 건 한 영국 국적 중국발 입국자의 사진을 공유했다. 아울러 군인 안내 역시 부족한 검역 인력을 지원하기 위해 군 지원단의 협조를 받는 것일 뿐 중국인을 차별하는 조치가 아니라고 밝혔다.


중국인 확진자 격리시설을 열악하게 운영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방역 당국은 적극 반박했다. 앞서 환구시보는 11일 사설에서 중국 누리꾼을 인용해 한국의 방역 조치가 중국인만을 대상으로 한다거나 비용을 지불했음에도 격리시설에 침대가 없고 온수가 나오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1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단기체류 외국인 임시격리시설 현황에 대한 질문에 “평소에 중국 관광객들이 이용하던 관광호텔급 이상의 객실”이라고 설명했다.

이후 별도의 서면 답변을 통해서도 “호텔 객실은 대한민국 국민도 이용하는 객실로, 모두 깨끗한 침대가 비치돼 있고 온수를 기본으로 제공하는 깨끗한 화장실로 구성돼 있다”고 말했다.


질병관리청은 “중국발 단기 체류 외국인 확진자의 안전한 격리를 위해 인천공항 인근에 최대 205명이 입실할 수 있는 호텔 3개를 격리시설로 운영하고 있다”며 “10일 기준 86명이 격리하고 있고, 32명이 7일간 격리를 마치고 퇴소했다”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또 “식사는 코로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전문 도시락 업체가 매일 다른 메뉴를 객실로 제공하고 있다. 의약품이 필요한 경우 미리 준비한 해열제, 감기약, 소독약 등도 제공하고 있다”며 객실과 도시락, 의약품의 사진도 첨부했다.

류샤오밍(劉曉明) 한반도사무특별대표는 11일 트위터에 전날 외교부 대변인 발언을 인용해 “중국인에게 정치적 조작이나 차별적 방법을 취해선 안된다”며 “중국에 취한 차별적 입국 제한 조치에 대등한 조처를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우리 정부의 조치에 대응해 지난 10일 한국인에 대한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했고 이어 11일 경유비자 면제도 중단한다고 밝혔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