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5%에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코로나19 확산으로 2주 넘게 봉쇄된 상하이와 저장·장쑤·안후이성을 합하면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에 달해 2020년 우한 사태 때보다 경제 충격이 더 클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3일 경제 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중국 안팎의 14개 기관이 전망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4.5%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가 제시한 올해 성장률 목표인 5.5%보다 낮은 수치다.
중국 경제는 올해 들어 코로나19 대규모 확산,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요인이 더해져 하방 압력을 받고 있다. 특히 상하이 봉쇄로 물류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기업과 개인 모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국제금융공사(CICC)는 보고서에서 “3월 이후 중국의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돼 그 영향권에 놓인 도시의 경제 비중이 2020년 3월보다 더 커졌다”고 지적했다. 또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도시 곳곳이 봉쇄되면서 중국 전역의 사회 이동 규모가 50% 정도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이로 인해 1분기 성장률이 0.3~0.7% 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2019년 6.1%에서 2020년 2.3%로 곤두박질쳤고 지난해에는 기저 효과 등에 힘입어 8.1%를 기록했다.
중국 국가통계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지낸 야오징위안 국무원 특약연구원은 이날 화상 간담회에서 “올해 5.5% 성장률 목표를 달성하는 데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는데 3월에 발생한 코로나19 때문에 확실히 영향을 받았다”며 “코로나19가 중국 경제에 줄 타격과 영향은 우한 때보다 큰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도시 봉쇄 등 강력한 통제 정책의 대가가 매우 크다고 인정하면서도 “방역의 끈을 놓으면 중국에 재난이 일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