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런던 대영 박물관, ‘한국 설날’ 표기.. 중국인들 불만 폭주

영국의 박물관이 설날을 맞아 ‘한국 음력설’이라고 표기했다가 중국인들 거센 항의를 받고 설날 글을 내리는 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영국 런던의 대영박물관은 음력 1월1일인 설날을 맞아 Twitter 공식 계정에 ‘한국의 음력설’을 기념하는 행사 홍보 글을 올렸다.

그런데 이 대영박물관 Twitter 계정에 올라온 행사 홍보글이 중국인들의 불만을 사면서 중국인 트위터리안들이 대거 몰려와서 설날이 ‘한국의 음력설’이 아닌 ‘중국 설’이라며 잘못됐다고 항의한 것이다.

이 들 중국 트위터리안들 항의가 빗발치자 결국 대영박물관은 설날을 ‘한국 음력설’이라고 표현한 해당 글을 Twitter에서 삭제했다.

대영박물관은 지난 12일(목) 공식 Twitter 계정을 통해 20일(금) 저녁 6시에 ‘Celebrating Seollal 설맞이’라는 이름으로 한국의 설날을 축하하는 의미의 행사를 진행한다고 알렸다.

대영박물관 측은 이 Twitter 글에서 음력설을 한국의 설날로 표현하며 한국의 설날을 축하하는 신라 합주단의 멋진 공연에 초대한다고 했다.

대영박물관 측은 이번 설날 축하 공연에 대해서 현대음악과 전통음악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한국 문화에서 중요한 5가지 색깔에 영감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흰 저고리와 분홍색 한복 치마를 입은 한 여성이 대영박물관 내에서 공연을 펼치는 사진을 첨부했다.

이후 해당 글에는 중국 트위터리안들의 항의 답글이 쏟아졌다.

한 중국인은 대영박물관에 부끄러운 줄 알아라고 거칠게 몰아붙이며 한국이 음력 설을 기념하는 유일한 나라가 아니라고 말했다.

적어도 음력설, Lunar New Year라고 써야 중립적이라며 아니라면 역사에 기반해 중국설, Chinese New Year라고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중국 트위터리안은 언제부터 음력설이 한국 것이 됐냐며 대영박물관이면 역사에 대해 더 잘 알아야 하는 것 아니냐고 공격했다.

이 밖에 다른 중국 트위터리안들도 중국에서 온 전통이라며 대영박물관측의 표현이 중국 것을 한국 것으로 만드는 거의 도둑질하는 정도 수준이라고 강하게 비난하기도 했다.

이같은 중국 트위터리안들의 잇단 항의 글이 쏟아지자 결국 대영박물관은 해당 트윗을 삭제했다.

또 공식 홈페이지에도 ‘한국 설맞이’ 관련 행사 안내 글이 내려갔다.

지금은 대영박물관 해당 행사 관련 링크를 들어가면 해당 페이지에 접근할 수 없다는 안내문이 뜬다.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은 음력으로 새해를 기념하며 통상 ‘음력설’이라고 하고, 영어로는 ‘Lunar new year’로 표현한다.

한국은 음력 1월1일을 ‘설날’이라고 부르는데 앙력 1월1일의 경우 새해 첫날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양력 1월1일을 설날이라고 부르지 않고 음력 1월1일에만 설날이라는 명칭이 붙는다.

이에비해 중국은 ‘중국설’이라는 표현을 계속해서 사용 중이다.

베이징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 개막식 때도 이 ‘중국설’이라는 문구가 등장해 논란이 일었다.

이같은 영향으로 국제기구 UN은 지난해(2022년)에 이어 올해(2023년) 발행한 ‘계묘년(癸卯年)’ 설 기념 우표에 중국 음력, ‘Chinese Lunar Calendar’라는 표현을 썼다.

Nike와 Apple 등 세계적인 브랜드들도 온라인계정에서 무난한 ‘음력설’ 대신 ‘중국 설’이라는 표현을 쓰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아시아권을 상징하는 보편적인 문화가 중국만의 문화로 비춰질 수 있는 ‘중국설’이라는 표현을 이제는 ‘음력설’로 바로 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