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인도와 국방 및 우주, 첨단기술 분야 협력을 강화하는 이니셔티브를 본격적으로 가동했다. 인도·태평양 동맹 및 파트너와의 협력 확대를 통해 대중국 견제·고립 전선을 만들기 위한 전략이다.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31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아지트 도발 인도 국가안보보좌관과 고위급 회담을 하고 양자컴퓨팅, 인공지능(AI), 5G 무선 네트워크,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분야 협력을 강화하는 핵심첨단기술 구상(iCET)을 발표했다.
양국은 미국 방산업체 GE가 미국 정부의 허가하에 인도와 제트 엔진을 공동개발, 국방·우주 분야 공조에 나설 방침이다. 미국은 반도체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인도의 반도체 메이커들과 협력도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회담은 지난해 5월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정상회담에 따른 후속 조치 성격이다. 미국은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기 위한 핵심기술 요충지로서 인도의 잠재적 가치를 높게 평가한다.
미 행정부 관리는 “인도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 야망의 핵심”이라며 “올해는 미·인도 외교에서 가장 중요한 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 역시 핵심부문에서 중국에 주도권을 뺏길 수 있다는 우려로 자국의 기술역량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인도는 반도체산업을 키우고 전기차나 통신 등 신흥 분야 육성에 노력하고 있다”며 “공급망 다각화에 나서고 있는 애플, 삼성 등이 자국에 더 많은 투자를 하기를 원한다”고 분석했다.
중국과의 국경 분쟁 이후 군사적 긴장이 높아진 것도 협력 강화의 동력이 됐다.
설리번 보좌관은 “공격적인 군사적 움직임, 공급망을 통제하려는 행동 등 중국이 제기하는 더 큰 위협이 인도의 결정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며 “중국과의 지정학적 경쟁이 미·인도 관계의 핵심축”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 견제 공급망 재편 전략인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도 올해 말까지 구체적인 결과물을 낼 수 있도록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