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中, 정찰 풍선으로 자국민 감시도 수년간 해와”


최근 미국에서 포착돼 논란이 된 정찰 풍선이 지난 수년간 중국 내부적으로도 활용돼왔다는 보도가 나왔다.

16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몇 년 전부터 열기구와 비행선 등을 사용해 자국의 반정부 움직임을 감시해왔다. 풍선을 활용하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사람이나 차량을 장기간 추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WP는 중국이 고고도 정찰 풍선 능력을 향상한 배경에는 중국과학원 산하 광학전자연구원(AOE) 풍선연구센터가 있다고 보도했다.

광학전자연구원은 미국 정부 제재 명단에 오른 중국전자과학기술그룹(CETGC)과 함께 2010년 상하이 엑스포 당시 약 1600㎥ 크기의 ‘풍선 경비원’을 띄웠다. 이 풍선은 고해상도 적외선 및 초분광 카메라를 탑재하고 7일 동안 자리를 지켰다.

2014년에는 같은 기업이 개발한 풍선이 신장 북부 튤립 축제 상공에 나타났다. 신장 지역에는 중국 정부의 탄압을 받는 위구르족 자치구가 있다. 당시 중국 당국은 풍선에 대해 “하루 24시간 360도로 지상에 있는 관광객과 차량, 건물을 감시할 수 있다”며 책과 비슷한 크기의 물체까지 포착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17년에는 후베이성에서 국영기업 중국항공공업그룹(AVIC)이 개발한 약 22m 크기의 풍선이 반테러 활동에 나서기도 했다.

광학전자연구원 풍선연구센터는 2012년 보도자료에서 중국군을 위해 ‘중요한 과업’을 수행했다고 밝힌 바 있다. 광학전자연구원이 2018년 베이징에서 개최한 ‘중국 비행기구 콘퍼런스’의 주제는 ‘군·민통합’이었다.

이 같은 사실들을 종합해봤을 때 중국의 풍선이 정찰용이 아니라는 중국의 주장은 다소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다. 미국 안보 싱크탱크의 한 연구원은 WP에 “중국에서 민간과 군사 기관이 서로 유착돼있음을 고려할 때 중국 측의 해명은 믿기 어렵다”고 전했다.

류동환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