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푸틴 “미 핵실험하면 우리도 한다”…뉴스타트도 참여 중단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신전략무기감축협정(New START·뉴스타트) 참여 중단을 선언했다. 뉴스타트는 2010년 미국과 러시아가 각각 장거리 핵탄두 숫자를 1550개 이하로 제한하고 상호 사찰을 허용하기로 한 핵무기 감축 협정이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모스크바 연방의회에 실시한 국정연설에서 “누구도 세계의 전략적 균형을 해칠 수 있다는 환상에 빠져선 안 된다”며 “러시아는 뉴스타트 참여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이 핵 실험을 한다면 우리도 똑같이 할 것”이라며 뉴스타트 복귀 조건으로 영국과 프랑스의 핵무기 통제를 내세웠다. 뉴스타트는 2026년 종료될 예정이었다. 푸틴 대통령이 국정연설에 나선 건 2년 만이다.

푸틴 대통령은 또 전쟁과 확전에 대한 책임을 서방에 돌리고 승전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그는 “서방이 더러운 게임을 하고 있다”며 “서방은 우크라이나 전쟁 전부터 우크라이나에 핵무기 공급을 언급했다”고 밝혔다. 러시아가 ‘특별군사작전’을 시작한 이유가 서방과 우크라이나의 군사적 밀착 탓이라는 것이다. 이어 “러시아를 전장에서 패배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7시간여 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모스크바에서 1000㎞ 떨어진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최전선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고 서방의 우크라이나 지원 단일대오를 강조했다. 그는 전날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전격 방문해 “푸틴의 정복 전쟁이 실패하고 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연설 맞대결로 서방을 중심으로 한 민주주의 진영과 러시아와 중국 등 권위주의 체제의 진영 대결도 재확인되는 모양새다. AP통신은 “바이든에게 우크라이나 전쟁은 예상치 못한 상황”이라며 “하지만 전쟁은 미국과 동맹국이 자유민주주의가 독재보다 우월하다는 걸 입증하기 위한 외교 정책적 이익에 부합하는 사안”이라고 진단했다.

NYT는 “푸틴과의 대결은 더욱 직접적이고 본능적이며 아마도 케네디와 후르쇼프(1962년 쿠바 미사일 사태) 이후 초강대국 지도자들 사이의 가장 개인적인 대결일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수십 년 동안 우세할 것으로 생각했던 미국 중심의 세계 질서가 모스크바와 베이징의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과 러시아는 더욱 밀착하는 모습이다.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중앙외사공작위원회 판공실 주임은 이날 유럽 순방 마지막 일정으로 러시아를 방문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크렘린궁은 “우리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왕 위원의 만남을 배제하지 않는다”며 “의제가 명확하고 광범위해 이야기할 것이 많다”고 밝혔다. 왕 위원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평화 회담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러시아 방문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바이든 대통령의 전날 우크라이나 방문에 대해 “선거 국면에서 벌이는 쇼”라고 비난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