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인공지능이 해고 대상자 선정?”…미 기업들 ‘시끌’


미국 기업들이 해고 대상자를 결정할 때 인공지능(AI)에 판단을 맡기고 있다고 20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지난달 구글의 정리해고 대상자가 모인 온라인 대화방에서는 ‘어떤 법도 위반하지 않도록 개발된 영혼 없는(mindless) 알고리즘’이 해고 대상을 결정한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오갔다.

이에 대해 구글은 “(해고 과정에) 알고리즘이 개입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미 많은 기업이 인터뷰나 채용, 홍보 등에 AI를 활용하고 있어 이런 우려가 전혀 근거 없는 것은 아니라고 WP는 전했다.

실제 지난 1월 소프트웨어 평가 사이트 캡테라가 미국 기업의 인사 관리자 3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98%가 올해 정리 해고 대상을 결정하는 데 소프트웨어와 알고리즘을 활용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최근 기업들이 만 명 넘는 대규모 정리해고에 나서면서 AI의 도움 없이 대상자를 선정하기는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이미 인력 회사들은 채용 과정에서 AI를 이용하고 있다. 알고리즘을 사용해 대상자의 경력과 능력, 기술 등을 데이터화해 기업이 원하는 지원자를 찾도록 하고 있다.

이 같은 프로그램을 반대로 이용하면 기업이 저성과자를 골라 해고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WP는 설명했다. 또한 AI는 이직하려는 직원들을 사전에 파악할 수도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알고리즘에 의존하기 전에 알고리즘이 어떻게 작동하고 사용되는지 이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인적자원(HR) 소프트웨어 회사 ‘글로트’의 제프 슈어츠 부사장은 “구성원들과 알고리즘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함께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소프트웨어 평가 사이트 캡테라의 HR 분석가인 브라이언 웨스트폴은 “알고리즘은 잘못된 데이터를 활용하면 위험할 수 있다”며 “알고리즘의 판단을 근거로 맹목적으로 결정하면 안 된다”고 조언했다.

김은초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