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지율 반등을 이뤄내며 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차기 대선 출마를 긍정적으로 보는 지지층도 크게 늘었다. 대선 출마를 공식화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지층 호감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 공영방송 NPR·PBS는 여론조사업체 마리스트에 의뢰한 조사(지난 13∼16일 성인 1352명 대상)에서 바이든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이 46%로 나타났다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3월(47%)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바이든 대통령 지지율은 지난해 7월 36%까지 떨어졌고, 올해 소폭 상승해 지난달 43%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주둔 미군이 없는 전쟁 지역인 우크라이나 키이우 방문 전 진행됐다.
민주당 내 지지율도 지난해 최고치(90%)에 근접한 88%까지 상승했다. 공화당 내 지지율은 15%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지난해 8월 최저치(3%) 대비 12% 포인트나 상승했다. 다만 무당층 지지율은 36%로 지난해 최고치(39%)에 못 미쳤다.
NPR은 예상보다 좋았던 지난해 중간선거 결과, 이달 초 국정연설로 지지층 신뢰 확보, 차기 대선 출마 선언 임박에 따른 지지층 결집을 지지율 상승 이유로 분석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대선 출마에 대한 기대감도 커졌다. 이번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층과 민주당 성향 무당층 50%는 바이든 대통령이 차기 대선 후보로 나서면 정권을 유지할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답했다. 대학 학위가 없는 백인, 연봉 5만 달러 미만, 45세 미만, 소도시나 교외에 거주하는 여성 등 지난 대선에서 바이든 대통령 승리에 도움을 준 유권자 그룹에서 긍정 평가가 나타났다.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의 경우 공화당 지지층과 공화당 성향 무당층 유권자 54%가 다른 후보를 앞세워야 승리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바이든 대통령의 차기 출마 선언은 그러나 미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는 바이든 대통령 측근들 사이에서 오는 4월 재선 도전을 공식 선언하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이고 있지만, 그 목표도 확실하지는 않다고 보도했다. 애초 2월 출마 선언을 목표로 했지만, 돌발 상황으로 결정이 미뤄졌다는 것이다.
측근들은 시간이 흐르면 인프라법, 반도체 지원법 등 바이든 대통령의 입법 성과가 가시화될 수 있어 지지율 회복에 더 도움이 될 수 있는 만큼 출마 선언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출마선언이 미뤄지면서 민주당 대선 잠룡들이나 다수의 주요 정치자금 기부자들이 물밑에서 나름의 ‘플랜B’를 수립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 민주당 전략가는 “바이든 대통령이 출마 선언을 할 것으로 확신하지만, 만약 6월까지 출마 선언을 미루면 일부 인사들이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앤드루 베이츠 백악관 언론담당 부보좌관은 “바이든 대통령은 공개적으로 재선 출마 의사가 있으나 최종 결정은 내리지 않았다”며 “(지금은) 더 많은 성과를 통해 일을 마무리하는 것이 바이든 대통령이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