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캐나다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이 중국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틱톡’ 금지령을 내렸다.
2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백악관 예산관리국은 연방정부 모든 기관에 모든 장비와 시스템에서 틱톡 프로그램을 앞으로 30일 내에 삭제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백악관은 이번 지침이 민감한 정부 데이터에 대한 틱톡의 위협에 대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미 의회가 지난해 12월 연방기관 직원들이 틱톡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행정부에 이에 대한 시행 명령을 60일 안에 내리도록 한 데 따른 것이다. 미 국무부와 국방부, 국토안보부 등은 이미 직원들이 사용하는 정부 기기에서 틱톡을 삭제했다.
브룩 오버웨터 틱톡 대변인은 “지난해 12월 미 연방정부 기기에서의 틱톡 사용 금지가 신중한 검토 없이 의회에서 통과됐고 이것이 세계 다른 정부들에 청사진이 되고 있다”며 “틱톡 금지는 정치극에 불과하다”고 반발했다.
틱톡 금지령은 다른 나라로도 확산되고 있다. 캐나다 매체 내셔널 포스트는 연방 정부가 공무원들에게 배포한 공문을 인용해 28일부터 정부에 등록된 모든 기기에서 틱톡 사용이 금지된다고 보도했다. 캐나다 정부는 틱톡의 데이터 수집 방식이 이용자들을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는 내부 검토 결과에 따라 정부 최고정보책임자가 정보 보안을 위해 내린 결정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도 정부 공용 스마트폰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정부 직원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 공용 단말 중에서 기밀정보를 취급하는 기기를 대상으로 이용을 금지하고 있다”며 “(틱톡 외에) 다른 SNS의 이용도 금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이버 보안상의 이유로 SNS를 금지한 것이지 중국을 겨냥한 조치는 아니라는 취지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