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역사적인 날”…유엔, 15년 만에 세계 바다 보호 합의


15년이 넘는 협상 끝에 유엔이 공해를 보호하기 위한 최초 조약에 합의했다. 전 세계 공해의 30%를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고 해양 보전에 더 많은 재정을 투입하는 내용이다.

CNN·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유엔 해양 및 해양법 대사 레나 리는 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 국제해양조약 제정 협상이 최종 타결됐다고 밝혔다.

이 조약은 2030년까지 공해를 포함한 전 세계 바다 30%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해 생태계를 보전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보호 구역에서는 어획량, 심해 채굴과 같은 상업적 활동이 제한된다. 고래와 거북 등 멸종위기 동물도 보호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해는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부터 대양으로 뻗은 해역을 뜻한다. 보통 각국 해안에서 200해리(약 370㎞) 밖에 있는 해역이 속하며 이곳은 국가 관할권이 없다. 전 세계 바다의 64%가 공해지만 이제까지 1.2%만 기후 변화, 자원 난개발 등으로부터 공식 보호를 받았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로라 멜러 활동가는 “오늘은 해양 보전을 위한 역사적인 날”이라며 “각국이 타협점을 찾아 해양을 보호하고 기후 변화에 대한 회복력을 키우며 수십억 명의 생명과 생계를 보호하는 조약을 체결한 것에 찬사를 보낸다”고 말했다.

유엔은 그간 공해 보호를 중심으로 하는 조약 제정을 추진해 왔지만 회원국 간 견해차로 협상 타결에 어려움을 겪었다. 해양자원 발굴로 얻는 이익을 놓고 부, 빈국이 합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번 조약이 공식 채택되기 위해선 유엔 회원국의 최종 동의, 제도적 기구 설치 등 몇 가지 단계가 더 남아있다. 유럽연합(EU)은 조약 이행을 위해 4000만 유로(약 533억)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장은현 기자 e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