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금리상승 영향 등으로 지난달 기업 파산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어제(5일) 블름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미국파산연구소(ABI)와 파산 관련 법률정보업체 '에픽 파산'에 따르면 지난달 상업적 파산 건수는 전달 대비 17% 증가했다.
또 가계와 개인 파산을 포함한 총파산 건수는 전년 동기와 대비해 13개월 연속 증가했다.
특히 연방파산법 11조(챕터 11)에 따른 지난달 파산보호 신청 건수는 지난해 동기 대비 54%나 증가했다.
ABI의 에드 플린 컨설턴트는 대기업의 경우 통상 다양한 사업부를 처리하기 위해 여러 개의 청원서를 제출하는 만큼 중복 신청이 있을 수 있지만 이를 감안해도 대기업 파산이 급증한 것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많은 부분이 금리 때문이라며 대형 건수가 비정상적으로 많아졌다고 전했다.
블룸버그의 집계에 따르면 미 파산법원에 지난주에만 최소 5천만달러 이상의 자산과 관련된 6건의 대형 파산보호신청이 접수됐다.
앞서 지난달에는 최소 23건이 신청됐다.
지난 1년간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면서 기업들이 만기가 도래하는 저금리 부채를 상환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이로 인해 지난 7월27일 금리 상승 등을 이유로 파산신청을 한 항공기 임대기업 보이저 에비에이션 홀딩스 등 일부 대기업이 벼랑 끝으로 내몰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