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시장에서 중산층이 구입할 수 있는 가격대의 매물이 급감하고 있다.
IT업계 종사자들이 몰리면서 집값이 폭등한 CA의 부동산 상황이 텍사스 등 주변 지역에 이어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이 가장 두드러진 곳은 텍사스다.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4년 텍사스 샌안토니오 주택 중 3분의 2가 중산층이 구입할 수 있는 가격대였지만, 지난해(2022년) 말에 이 비율은 3분의 1 이하로 감소했다.
댈러스 연은은 중위소득 가구가 소득의 28%를 주택담보대출 상환 등에 사용해 구입할 수 있는 주택을 '중산층이 구입가능한 가격대'로 규정했다.
텍사스의 또 다른 대도시인 댈러스도 2014년에는 주택 2분의 1 이상이 중산층이 구입 가능한 가격대였지만, 지난해 말에는 3분의 1 이하로 줄었다.
이 같은 현상은 최근 텍사스로 이주하는 다른 주 거주자들이 급증하면서 주택에 대한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지난 2000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900만명이 넘는 미국인이 텍사스로 거주지를 옮겼다.
연방주택금융청(FHFA)에 따르면 지난해 초 텍사스의 집값은 1년 전보다 20%나 급등했다.
이는 지난 2004년 이른바 '닷컴버블' 시절 CA의 집값이 상승했던 상황과 비슷한 분위기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해석이다.
중산층이 구입할 수 있는 가격대의 매물이 급감하는 현상은 텍사스 외 전국에서 확인된다.
노스캐롤라이나 랠리의 경우 2014년에는 주택 73%가 구입 가능한 가격대였지만, 올해(2023년) 2분기에는 40%로 떨어졌다.
플로리다주의 포트마이어스 도심지역은 69%에서 26%로 감소했다.
한편 텍사스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주택 수요가 늘면서 부동산 가격이 상승한 것과 함께 최근 고금리로 주택담보대출 이율이 높아진 것도 중산층의 주택 구입을 막는 요인으로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