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팔 주민이 가자통치" 못박은 미국.. '포스트 하마스' 안갯속

미국이 가자지구의 궁극적인 통치 주체가 팔레스타인 사람들이어야 한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이스라엘의 재점령론을 서둘러 진화하는 입장 천명이었으나실현을 위한 대책이 뒷받침되지 않아 불확실성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토니 블링컨 국무부 장관은 어제(8일) 주요 7개국(G7) 외무장관 회의 부대행사에서 미국이 지향하는 가자지구의 비전을 밝혔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전쟁이 하마스 제거로 마무리되면 팔레스타인 주민이 가자지구를 통치한다는 게 골자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통치권을 갖고 양대 팔레스타인 자치지구인 가자지구, 요르단강 서안을 정치적으로 통일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블링컨 장관은 팔레스타인의 궁극적 미래가 '두 국가 해법'(tow-state solution)에 따른 독립국가 수립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가자지구 재건을 위한 지속적 메커니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동등한 수준의 안보, 자유, 기회, 존엄을 갖고 각자 국가에서 나란히 살아갈 경로가 가자지구 비전에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백악관도 블링컨 장관의 선언에 이어 가자지구는 팔레스타인이 통치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그들의 미래를 책임져야 하고 그들의 미래를 결정하는 목소리와 요인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이 같은 입장은 지난달 7일 시작된 전쟁 이후 가자지구 미래를 두고 제시된 정책 기조 가운데 가장 선명하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재점령 반대나 두 국가 해법을 언급하기는 했으나 짧은 선언에 그친 면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