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정부 지원에도 전기차 전환 속도 느려.. "충전소부터"

바이든 행정부가 내연기관차의 전기차 전환을 장려하고 있지만 속도가 기대에 못 미친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국에서 전기차 판매 증가세가 최근 몇 달 둔화하자 자동차업체들이 생산계획을 축소하거나 일부 투자를 보류하고 있다.

제너럴모터스(GM)는 내년(2024년) 중반까지 전기차 40만대를 생산하겠다는 계획을 철회하고, 미시간주에 건설하기로 했던 전기차 공장 가동 시점도 1년 미뤘다.

포드는 최근 내년 F-150 라이트닝 전기 트럭 생산량을 줄인다고 발표했다.

지난 10월에는 머스탱 마하-E 전기차 생산을 줄이고 배터리공장 등 전기차와 관련된 12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연기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전기차 시장을 주도하는 테슬라조차 멕시코 전기차공장 건설 속도를 늦췄다.

시장조사업체 제이디파워에 따르면 전국에서 올해(2023년) 지난 1월부터 10월까지 판매된 전기차 수는 86만9천대다.

이는 1년 전 같은 기간 보다 56% 증가한 수치다.

전기차 판매가 내연기관차에 비해 여전히 빠르게 늘고 있지만, 그 성장세가 2년 전보다 줄었고 일부 자동차업체의 전망보다도 낮았다.

포드자동차의 존 롤러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10월 "전기차 판매가 성장하지 않는다는 인식이 자리 잡았지만 계속 성장은 하고 있다"면서 "다만 우리와 자동차산업에서 기대한 것보다 속도가 느리다"고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2030년까지 신규 자동차 판매의 절반을 순수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로 구성하기를 바라지만 이들 무공해 차량은 지난달(11월) 전국에서 판매된 신차의 10.8%를 차지하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백악관이 전기차 보급 목표를 달성하려면 무엇보다 전기차 충전과 관련된 불만을 해소해야 한다고 말한다.

특히 충전소가 부족하고 자주 고장나는 문제를 해결해야 새로운 기술을 좋아하고 소득이 많은 일부 소비자뿐만 아니라 불편을 감수하면서까지 전기차를 탈 생각이 없는 중산층을 더 끌어들일 수 있다는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2026년까지 전기차 충전소 50만개를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이를 위해 인프라법을 통해 보조금 75억달러를 지급하기로 했다.

그러나 최근에야 신규 충전소 건설이 시작되고 있으며 지금 규모의 보조금만으로는 전국에 광범위한 충전망을 갖추기 힘들다는 지적도 나온다.

충전소를 짓기 위해 전력회사와 협력하고, 인허가를 받고, 장비를 구매해 설치하는 데도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전문가들은 또 전기차를 타면 장기적으로 연료비를 아낄 수 있어 경제적으로 이득이라는 점을 소비자에게 잘 설명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전기차 수요가 감소하고 경쟁이 늘면서 최근 전기차 가격은 인하되는 추세다.

콕스 오토모티브에 따르면 지난 11월 소비자가 전기차를 사기 위해 지불한 평균 가격은 5만2천345달러로 자동차 시장 전체 평균보다 8.5% 높았는데 1년 전에는 평균보다 30% 이상을 더 줘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