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英가디언도 주목한 BTS 병역특례… “한국인들 분열돼”


영국 일간 가디언이 국내에서 벌어지는 방탄소년단(BTS)의 병역특례 논란을 상세히 조명했다.

가디언은 23일(현지시간) ‘BTS 병역 논란으로 갈라진 한국’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국회의 병역특례법 논의를 두고 BTS 20대 멤버들을 2년간 군대에 보낼지, 아니면 눈부신 기여를 인정하고 특례를 인정할지 한국인들이 분열돼 있다”고 전했다.

가디언은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토트넘 소속 축구 국가대표 손흥민과 피아니스트 조성진을 언급했다. 이들은 현행 병역법에 따라 병역 대체복무 혜택을 받았다.

손흥민의 경우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땄으며, 조성진은 국제 피아노 콩쿠르(2009년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 국제피아노콩쿠르)에서 우승해 대체복무 자격을 인정받았다.

가디언은 “엄밀히 말하면 여전히 북한과 전쟁 중인 한국에서 병역 기피 유명인은 매우 곱지 않은 시선을 견뎌야 한다”고도 지적했다.

그러면서 가수 유승준(45·미국명 스티브 승준 유)의 병역 기피 사례를 언급했다. 그가 입대를 몇 달 앞두고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가 추방됐으며, 다시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디언은 몇몇 한국인들의 인터뷰를 전하며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한국인은 BTS를 위한 의무적 군 복무 대안을 지지하는 한편 일부 사람들은 명확한 지침이 없다며 법의 변화가 자격을 충족하지 못한 유명 인사들에 의해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고 했다.

매체가 인터뷰한

반면 서울의 한 대학생은 “병역 면제 논의에 불편하다”면서도 “손흥민이나 방탄소년단 같은 사람들이 보병 부대나 군악대에서 일하는 것보다는 자신의 경력을 이어가야 한국의 매력을 놓여주고 소프트파워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행 병역법 시행령은 예술·체육 분야 특기에 대중문화인을 포함하지 않아 BTS는 예술·체육요원으로 대체복무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정치권이 BTS 병역특례법을 이달 중으로 통과시킬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대중들의 반응은 팽팽히 나뉘고 있다.

이주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