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아시아·유럽과 달리 美, 재확산 피한 이유는…”이미 60% 감염”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확진자가 급증한 아시아나 유럽과 달리 미국이 재유행 사태에서 비켜선 듯한 모습을 보이는 이유는 이미 국민 과반이 코로나에 감염됐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미국 국민 60%가 코로나19에 감염된 적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6일 보도했다.CDC는 지난해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미국 전역에서 수집된 혈액 샘플 중 코로나19 백신 접종자가 아닌 감염자에게서만 발견되는 특정 항체를 추적했다.연구를 주도한 CDC의 크리스티 클라크 박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현재 미국인 중 이 같은 특정 항체가 발견된 사람은 30% 선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올해 2월에는 수치가 60%까지 급증했다.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층의 확진자가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17세 이하 연령층에서 특정 항체 보유자의 비율은 지난해 12월에는 45%였지만 올해 2월에는 75%로 늘었다.18세에서 49세 사이 연령층에서 코로나19에 걸린 적이 있는 사람의 비율은 64%로 확인됐다.코로나19 감염자의 비율은 50세부터 65세까지 장년층에선 50%, 65세 이상 노인층에선 30%대로 떨어졌다.NYT는 이처럼 많은 미국인이 이미 코로나19에 감염됐기 때문에 최근 중국 등 일부 국가에서 확인된 코로나19 재확산 사태가 미국에서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코로나19 감염자는 완치 후에도 백신 접종자보다 면역력이 낮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감염 이후 생성되는 항체도 중증 악화에 대한 방어력 등의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다만 연구를 주도한 크리스티 클라크 박사는 “감염으로 생성되는 면역력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는 알 수 없다”며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그는 특히 어린이 접종과 관련, “이미 감염됐다고 하더라도 백신을 접종할 것을 강력히 추천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