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리포트] "올해 지구촌에 정말 잔인한 더위의 여름 온다"

[앵커멘트]

올해 지구촌의 여름이 위험한 수준의 더위를 동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전문가들은 세계 평균 기온이 지난 한 해 각달 기준으로 사상 최고 기록을 이어 갔다고 지적하면서'진짜 잔인한 여름의 부상'을 경고했습니다.
 김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해 지구촌에 잔인한 수준의 더위가 올 것으로 보입니다.

계속되는 지구 온난화 속에 여름철 폭염으로 목숨을 잃는 사람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의학 저널 랜싯(Lancet)에 2021년 발표된 한 연구 결과는 지난 2000~2019년 전 세계에서 폭염 때문에 매년 평균 48만9천명이 숨진 것으로 추정했다고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어제(26일) 보도했습니다.​

단 의료 서비스가 부족한 저개발국의 경우 폭염 피해가 상당하지만 이로 인한 사망자 수가 제대로 잡히지 않기 때문에 실제 피해 규모는 이보다 더 클 수 있습니다.

유엔과 국제적십자연맹(IFRC)은 폭염을 치명적인 기상·기후 재해 중 하나로 보고 있습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런 추세를 고려하면이번 여름이 험난할 것으로 보인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또 실제 지구촌에서 이미 폭염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지난 19일 마무리된 이슬람 정기 성지순례(하지) 기간,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낮 최고기온 50도를 넘나드는 '살인 더위' 속에서 온열질환으로 1천300명 이상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같은 폭염으로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 비용도 상당하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짚었습니다.

랜싯에 발표된 또 다른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22년 무더위로 인한 전 세계 노동시간 손실 규모는 4천9 00억 시간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됩니다. 

이는 1991~2000년의 연평균 손실 규모보다 42% 가까이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로 인해 동남아시아에서만 이 지역 국내총생산(GDP)의 약 5%에 해당하는 수익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이 연구는 짚었습나다.

전문가들은 여름철 인프라 부족으로 폭염에 취약한 지역들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각국 정부가 폭염에 대비한 정책을 점검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짚었습니다.

그러면서 스페인 마드리드가 시행하는 폭염 대응 정책을 모범 사례로 소개했습니다. 

마드리드의 대응 계획에는 수업 시간을 단축하거나 변경하고, 대중교통의 운행 빈도를 늘리고, 가정용 에어컨 업그레이드를 위한 보조금을 지급하는 조치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현 정책이 얼마나 잘 시행돼왔는지 확인하는 것은 미래에 대처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김나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