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각국에 상호 관세를 부과해 충격이 일파만파 커지자 개빈 뉴섬 CA주지사가 독자적인 무역 정책 추진에 나선다고 발표했습니다.
개빈 뉴섬 주지사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이 모든 미 국민의 뜻이 아니라며 각 무역국들에게 CA주를 대상으로 한 보복 관세 면제를 설득하는 등 독자적인 무역 노선 유지를 추진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이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을 포함한 각국을 대상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부과해 미국은 물론 전세계 경제가 요동치고 있습니다.
상호 관세 부과를 시작으로 중국을 비롯한 국가들이 미국을 상대로 보복 관세를 부과해 서막이 오른 관세 무역 전쟁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앞선 배경을 바탕으로 미국의 대표적인 수출입 관문 가운데 한 곳인 CA주가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되자 개빈 뉴섬 CA주지사가 선제 대응에 나섰습니다.
CA주 독자 무역 노선 유지 및 확대 계획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것입니다.
개빈 뉴섬 CA주지사는 오늘(4일) SNS 엑스에 게재한 영상을 통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모든 미 국민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또 CA주는 미국 총생산 GDP의 14%를 차지하며 경제 규모로만 놓고 보면 전세계 5위로 미국 경제의 중심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개빈 뉴섬 주지사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 정책이라는 위기속에서 새로운 무역 기회를 모색하고 전세계 무역국들에게 CA주는 여전히 안정적인 파트너임을 상기시킬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선 배경을 바탕으로CA주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를 계기로 새로운 무역 범위 확대를 모색하고 국제 무역국들이 미국을 대상으로 보복 관세를 부과할 때 CA주는 면제받을 수 있도록 설득하겠다고 뉴섬 주지사는 밝혔습니다.
연방 정부 정책과 상반되는 경제 정책을 CA주가 독자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또 미국을 대상으로 한 각국의 보복 관세 부과 조치를 CA주가 어떻게 면제받을 수 있을지도 불확실합니다.
오히려 CA주의 독자 노선으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로 부터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하지만 CA주는 민주당의 텃밭인데다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코로나19 정책에서도 독자 노선을 걸었던 경험이 있는 만큼 제한적일 수 있지만 상호 관세 부과에 따른 여파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기대감은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진보 진영의 결집을 위해서라도 CA주의 정책은 기준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주민들에게 가장 민감한 경제와 관련해서는 강력하게 밀어부칠 여지가 있는 만큼 이와 관련한 개빈 뉴섬 주지사의 행보가 주목됩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이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