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중동 긴장-트럼프 정책 등에도 CA 경제 회복 가능

최근 이란과 이스라엘 충돌 등 중동 지역의 정세 불안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극단적인 경제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미국 전역에 다양한 파장을 일으키며 충격을 주고 있다.

캘리포니아 경제도 이같은 요인들의 영향을 받고 있는데 이같은 단기적인 불안 요인들이 분명히 존재하지만 미국 최대 소비 시장이자 첨단 산업의 중심지라는 저력으로 중장기적으로 회복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올해(2025년) 상반기 경제는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서 불투명성이 증가하면서 상당히 요동치며 흔들리는 모습이다.

무엇보다 이란과 이스라엘 간 무력 충돌로 인해 국제 유가가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 불안 요소다.

특히 캘리포니아 주는 정유시설 폐쇄와 수입 연료 의존도 증가로 주유소 개솔린 가격이 다른 주들보다 빠르게 오르는 추세다.

캘리포니아 에너지위원회는 최근 개빈 뉴섬 주지사에게 연료 수입 확대와 정유소 운영 유지를 골자로 한 비상 권고안을 제출했다.

이는 에너지 공급 불안정이 제조업, 물류, 농업 등 주요 산업 전반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연방 차원의 법인세 감면, 환경 규제 완화, 친석유 정책 강화를 핵심 경제 방향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에너지·제조업에는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의 이른바 ‘경제 살리기’ 정책이 기후정책 선도 주인 캘리포니아와는 정책 충돌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실리콘 밸리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 에너지, 전기차, AI와 클린테크 기업들은 연방 정책 변화로 인해 투자 유인 감소와 정책 불확실성 증가를 우려하고 있는 분위기다.

그런 불안한 요소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캘리포니아 주는 최근 통과된 주내 반도체 생산 인센티브 확대, AI 스타트업 집중 유치, 그리고 농업·물류 분야의 자동화 투자 확대 등을 통해 자체 회복력을 유지하고 있다.

UCLA 앤더슨 경제연구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동발 유가 상승이 3분기까지 소비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캘리포니아 주의 기술·서비스 기반 경제 구조를 감안할 때 고용 회복세와 함께 하반기에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SALT 공제 폐지 복원 가능성, 무역정책의 기업친화적 방향 전환, 연방 금리 인하 압박 등도 가계 지출과 기업 투자에 긍정적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민 단속 강화, 연방 정부와 주 정부 갈등 격화, 기후 정책 불확실성 등은 여전히 리스크 요인으로 꼽히고 있어, 캘리포니아 주 정부의 독자적인 정책 대응력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서 앞으로 경제 흐름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