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ICE 단속에 LA 경제 ‘흔들’, “연방정부가 보상해야”

최근 연방 이민세관단속국, ICE의 무차별적 단속 여파로 LA 지역 경제가 매우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이로 인한 손실이 “숫자로 산정 가능하다”며, LA 시가 연방정부에 보상 청구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주형석 기자입니다.

UC머세드 커뮤니티·노동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ICE의 집중 단속이 있었던 5월 11일부터 6월 8일 사이 한 달간, 캘리포니아 민간 부문 노동자의 약 3.1%가 출근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 19 팬데믹 당시와 비슷한 수준의 경제적 타격이다.

특히 ICE는 홈디포, 세차장, 노숙자 쉼터 등에서 2,800명 이상의 사람들을 체포해 구금한 것으로 파악됐다.

직접적으로 체포되는 등 피해를 입은 비시민권자들은 물론 상당수 시민권자도 불안감에 일자리를 포기하는 경우가 잇따랐다.

캐런 배스 LA 시장도 ICE의 강력한 단속에 항의하며 라티노 밀집 지역의 발길이 팬데믹 때보다 더 뜸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LA 메트로 탑승률을 비롯해 각종 여름방학 프로그램, LA 동물원 방문객 수 등 모든 주요 지표들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심지어 올해(2025년) 1월 발생한 대형 산불 복구 공사마저도, ICE의 공사 현장 급습으로 노동자 이탈이 이어져 차질을 빚고 있다.

LA 시는 올해 들어서 약 10억 달러에 달하는 상당한 정도의 재정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재정 적자를 메우기 위해 LA 시는 이미 600명을 해고하고 각종 시 서비스도 중단한 상황이다.

이 와중에 ICE 단속으로 발생한 경제 손실까지 떠안게 되자, 일각에서는 연방정부에 공식 보상을 청구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주장에 대해 LA 시 감사관실과 재무국 등 주무 부서는 연방정부 상대로 보상을 요구할 수있는 근거가 되는 관련 데이터가 내년(2026년) 세금 신고까지 기다려야 파악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즉, 현실적 여건 상 구체적 손실 계산이 어려운 상황이어서 지금 당장 연방정부 상대로 법적 대응을 할 수없고 최소한 1년 정도 기다려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치 전문 매체 ‘아메리칸 프로스펙트’는 연방정부의 무분별한 정책으로 지역 경제 손실이 발생한 만큼 LA가 보상 청구서를 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단순한 상징적인 조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정책이 초래한 실질적 피해를 드러내는 매우 강력한 정치적 메시지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ICE는 공화당 주도 하에 수십억 달러 예산을 확보해 LA 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단속 확대를 준비 중이다.

얼마전 뉴욕에서도 단속이 있었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이제 다른 도시들도 조만간 비슷한 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높다.

더 많은 이민자들이 불안 속에 삶의 터전을 잃고 있고, 한인 커뮤니티 역시 직·간접 피해를 받고 있다.

LA 한인 사회 차원에서도 ICE 단속의 실태와 그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제대로 측정해 법적인, 정치적인 대응을 해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