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 기업 인텔(Intel) 에 대한 10% 지분 투자를 놓고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른바, 칩스법(Chips Act) 에 따라 책정된 인텔 보조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분으로 전환하는 방식이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검토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한 것이다.
로이터 통신은 트럼프 행정부의 Intel에 대한 10% 지분 가치가 약 100억 달러 정도에 달하는 수준이라고 전했다.
Intel은 상업·군수 생산용 칩스법 보조금 총 109억 달러를 배정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정부의 지분 취득 재원과 대략적으로 맞먹는 규모다.
Intel 주가는 어제(18일) 3.7% 하락 마감했다.
최근 정부 지원 기대감으로 반등했던 주가가 지분 참여 가능성 보도에 변동성을 보인 것으로 붆석된다.
앞서 매체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립-부 탄(Lip-Bu Tan) Intel CEO와 면담을 한 이후, 트럼프 행정부의 Intel 지분 매입 가능성이 불거졌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립-부 탄 CEO의 중국 기업 연계 논란을 이유로 Intel 최고 경영자 자리에서 사임을 요구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시장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직접 지분 참여가 Intel의 현재 적자 구조인 파운드리(위탁생산) 사업에 숨통을 틔울 수 있는 호재라는 관측과 함께, 제품 로드맵 부진·고객 유치 난관 등 구조적 과제는 정부의 지분 참여에도 불구하고 여전하다는 평가가 병존하고 있다.
Intel 주주인 Afters Capital Advisors의 데이비드 와그너 대표는 미국 정부가 대표적인 블루칩 기업을 구하기 위해서 직접 개입한다는 건 Intel의 경쟁 위치가 시장 우려보다 더 악화됐음을 시사한다며 악재라고 지적했다.
반면 데이비드 와그너 대표는 조세를 투입하는 것에 회의적이지만, 국유화에 가까운 상황으로 가는 것보다는 나은 것같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산업개입이 강화되고 있는 것도 논란이다.
칼베이 인베스트먼츠의 클라크 제러넌 애널리스트는 미국 정부가 중국식 카드를 꺼내 들고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즉 중국 정부처럼 주요 생산에 통제력을 확대하려는 시도라는 것인데 자유시장 관점에서는 우려스럽운 행보라고 볼 수밖에 없지만, 기업들은 현 정권의 유효기간이 많이 남았음을 고려해 실용적으로 협조하고 있는 분위기라고 평가했다.
미국 정부는 과거 2008~2009년 금융위기 사태 당시 GM 등 기업 지분을 취득한 전례가 있다.
Intel은 지난해(2024년) 칩스법에 따라 총 80억 달러 규모 보조금·인센티브를 확보하며 오하이오 등 미국 내 신규 공장에 투자했지만, 립-부 탄 CEO 취임 후 수요 연동형 투자로 선회하면서 오하이오 공사 속도를 조절하고 있는 상태다.
이는 미국 내 제조역량 보강을 압박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의 기조와 긴장을 빚을 소지가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