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어제(5월4일) 저녁 NFL 최고 인기팀 댈러스 카우보이스의 제리 존스 구단주가 사고를 당해서 병원에 간 것으로 알려졌죠?
*제리 존스, 댈러스 카우보이스 구단주, 어제 저녁 차량사고로 부상
*ESPN, “어제 댈러스 시간 저녁 8시10분쯤 Wolf Blvd와 Harry Himes Blvd 부근에서 사고”
*ESPN, “사고 차량에 제리 존스 구단주 탑승하고 있었다”
*ESPN, “제리 존스 구단주, 사고로 가벼운 부상 입은 것으로 나타나”
*ESPN, “제리 존스 구단주, 인근 병원으로 후송돼 치료받고 귀가”
*ESPN, “어떻게 일어난 사고인지, 제리 존스 구단주가 직접 운전중이었는지 알려지지 않아”
*제리 존스, 79살, 경제 전문지 Forbes 추산 120억 달러 자산가
*제리 존스, 1989년 댈러스 카우보이스 인수 후 지금까지 33년째 구단주, 3번 수퍼볼 우승
2.세계축구연맹, FIFA 회장의 최근 발언이 심각한 논란을 일으키고 있죠?
*FIFA 회장인 지아니 인판티노의 망언에 세계 축구팬들 분노
*ABC TV 등 여러 방송 매체들, 지아니 인판티노 논란의 발언에 대해 보도
*올해 열리는 ‘2022 카타르 월드컵’ 인프라 구축 때 발생한 인권 침해에 대한 부분
*지아니 인판티노, “이주 노동자들이 노동 통해 위엄과 자부심을 얻는다” 발언
*ABC 등은 이같은 지아니 인판티노 발언에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고 전해
3.비판이 쏟아지게된 이유는 카타르 월드컵 인프라 구축 관련해 희생이 너무나 컸는데 그 부분을 너무 쉽게 생각하는 듯이 말했기 때문이죠?
*지아니 인판티노. 바로 어제(5월3일) 이곳 LA에서 열린 한 컨퍼런스에 참가
*지아니 인판티노, 어제 LA 밀켄 연구소 글로벌 컨퍼런스, 예민한 내용에 대한 질문 받아
*카타르에서 인프라 구축 중 사망하는 이주 노동자의 어려움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
*현재까지 카타르 월드컵 경기장 건설중 사망한 노동자 숫자가 무려 6,500여명에 달해
*인도 등 동남아시아에서 온 근로자들, 7개 새로운 경기장 건설에 투입
*또 새로운 공항, 도로, 대중 교통, 호텔 등 광범위한 기반 시설을 건설하는데도 나서
4.카타르 월드컵 공사 현장에서 이렇게 많은 이주 노동자들이 사망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Human Rights Watch 등 인권단체들, 이주 노동자 실태에 대한 연구 발표
*이주 노동자들, 카타르 노동력 95% 차지할 정도로 약 200만여명의 압도적 비중 차지
*이 연구에서 카타르 월드컵 인프라 구축 공사 현장이 대단히 열악하다고 지적
*카타르 노동법이 전혀 노동자들을 지켜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
*임금 체불, 혼잡하고 비위생적 생활 조건, 과도한 노동 시간, 학대, 착취, 강제 노동 등 시달려
5.그러고 보면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는 것을 감안하면 FIFA 회장의 발언은 정말 문제가 많은 거네요?
*이러한 보고에도 불구하고 지아니 인판티노, 이주 노동자들 희생 전혀 아랑곳하지 않아
*지아니 인판티노, “노동자들이 생계 꾸려 경기장 건설할 기회 갖게돼 자랑스럽게 생각할 것”
*FIFA가 카타르 사망 노동자 가족 돕기 위해 어떤 종류의 약속이라도 할 것인지 질문에 대한 답변
*지아니 인판티노, MSNBC 앵커 스테파니 룰레의 사망 노동자 질문에 논란의 답변 펼쳐
*지아니 인판티노, 자신의 부모도 이탈리아에서 스위스로 이민 왔다고 언급
*지아니 인판티노, “누군가에게 일을 주는 것은 힘든 상황에서도 존엄과 자부심을 주는 것” 주장
*지아니 인판티노, “일을 주는 것은 자선이 아니다. 자선을 베푸는 것이 아니다” 거듭 주장
*심지어 카타르 월드컵 개최 기반 시설 건설 중 6,500여명 노동자 사망 주장 받아들이지 않아
*지아니 인판티노, 경기장 건설 현장에서 3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언급해
*지아니 인판티노, “6500여명 사망자가 경기장 건설 아닌 다른 작업에서 죽었을 수도 있다” 망언
*지아니 인판티노, “FIFA 덕분에 카타르 150만 노동자들이 생활을 해결할 수 있었다” 주장
*지아니 인판티노 망언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어서 더 문제라는 지적
*3개월전에는 격년제 월드컵 주장하며 아프리카 사람들 거론
*지중해 건너다 바다에서 죽을 수도 있는 아프리카 사람들에 더 많은 기회 제공할 수 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