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극우 청년 활동가 찰리 커크를 추모하기 위해 조기 게양을 명령한 가운데 LA시에서는 이를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캐런 배스 LA 시장이 조기 게양하지 말 것을 지시했지만 일부 소방서가 이를 거부하고 조기를 유지하면서 시장의 대응에 대한 비판과 함께 찰리 커크가 과연 조기 게양의 자격이 있는지를 둘러싼 논쟁도 커지고 있습니다.
전예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10일 극우 성향의 청년 정치 인플루언서로 알려진 찰리 커크가 유타주 한 대학 행사에서 총격을 받아 암살당했습니다.
이후 소셜미디어에는 조기를 게양하는 등 커크를 추모하는 영상이 잇따라 올라왔습니다.
<녹취>
하지만 이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동시에 제기되고 있습니다.
<녹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일 커크를 기리기 위해 백악관과 군 기지, 공공건물에 사흘간 조기를 게양하라는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했습니다.
그러나 LA시는 이에 따르지 않았습니다.
지난 12일 금요일 LA시 산하 모든 소방서에 ‘조기를 게양하지 말라’는 지침이 내려졌고, 캐런 배스 시장의 별도 지시가 없는 한 국기는 정상 위치에 두도록 명시됐습니다.
하지만 일부 소방서는 배스 시장의 지침을 거부하고 조기를 게양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소방관은 폭스뉴스에 LA시 리더십의 비인간적이고 비도덕적인 모습에 큰 실망을 표하고 “추모를 막는 것은 시민 봉사를 부정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반면 조기 게양의 ‘자격’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있습니다.
USC 법대 조디 아머 교수는 커크가 선출직도, 군인이나 공직자도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커크의 생전 발언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격으로 가득했던 만큼 모든 국민에게 그를 기리라고 요구하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습니다.
보수 청년 단체 ‘터닝 포인트 USA’의 대표로 활동하며 강경한 보수 성향의 목소리를 내온 찰리 커크의 암살 사건을 두고, 커크를 순교자로 보는 지지층과 혐오 발언의 상징으로 보는 반대 진영의 시각 차이는 조기 게양 논란을 넘어 정치적 대립으로까지 확산되고 있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전예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