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에서 우편 배달원이 연방정부 수표를 1,000만 달러 이상 훔쳐서 뺘돌리 사건이 드러나면서, 우편 서비스와 금융 안전성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우체국 내에서 일어난 연방 수표까지 노린 대규모 조직 범행으로 연방 우편과 금융 시스템의 구조적 취약성을 드러냈다.
LA 우체국에서 조직적인 범행으로 거액이 절도돼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걱정이 높아지고 있다.
연방 검찰에 따르면, East LA 출신 찰리 뱅크스 그린 Jr.(37)가 어제(9월15일) 연방법원 R. 게리 클라우스너 판사로부터 5년6개월의 징역형과 함께 162만 달러를 배상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찰리 뱅크스 그린 Jr.는 LA 페어팩스 지역의 Bicentennial 우체국에서 근무하면서 고액 수표와 CA 고용개발국(EDD)의 실업보험 관련 직불카드를 동료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훔친 혐의를 인정했다.
범행은 지난 2020년부터 2024년 8월까지 약 4년 이상 이어졌다.
찰리 뱅크스 그린 Jr.는 공범이자 친구인 라샤드 디온 스톨든(34·헌팅턴비치)과 함께 범행을 저질렀다.
두 사람은 훔친 수표를 다른 공범들에게 판매했고, 이들 공범들은 위조 신분증을 이용해 은행에서 현금화했다.
검찰에 따르면, 라샤드 디온 스톨든은 2022년 6월에 730만 달러 규모의 연방 재무부 수표를 훔쳐 한 공범에게 넘겼고, 이 공범은 테네시주의 한 은행에서 이를 입금한 뒤 100만 달러 이상을 인출했다.
라샤드 디온 스톨든은 한 달 전이었던 지난달(8월) 찰리 뱅크스 그린 Jr.와 같은 혐의로 똑같이 5년 6개월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연방 검찰은 이들 외에도 다른 공범들이 별도 재판에서 기소돼 비슷한 정도의 처벌을 받았거나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 사건은 단순 절도 수준을 넘어, 우체국 내부자가 개입한 금융 범죄라는 점에서 상당한 충격을 주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국적으로 실업수당 사기와 우편 절도 사건이 급증했고 LA도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LA 지역에서는 특히 실업보험(EDD) 직불카드와 연방 정부 지원금 수표가 우편으로 배달되는 과정에서 집중적으로 범행의 타깃이 됐고 실제 범죄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 검찰은 이번 사건을 통해 우편 시스템이 범죄에 악용될 경우, 수십억 달러 세금이 유출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있었다며 강력 대응 방침을 밝혔지만, 소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시스템 자체의 구조적 취약성을 지적했다.
오래된 우편 처리 시스템과 전자적 추적 미흡, 배달원 신원 검증과 내부 감시 부족 등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이런 허점들이 결합하면서 내부자 범행이 장기간 이어질 수 있었다는 것이다.
LA 한인 사회에서도 유사한 피해가 우려되고 있는데 렌트비, 학비, 사업 거래 대금 등을 우편 수표로 송금하는 경우가 많고, 고령 한인들이 여전히 체크북을 통한 지불에 의존하는 사례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한 금융 전문가는 이번 사건이 단순히 미국 우편 시스템의 문제를 넘어, 현금화 가능한 수표 거래 자체가 얼마나 취약한지 보여준다는 점을 지적했다.
한인 사회도 수표를 오프 라인으로 부치는 행위 보다는 온라인 송금(Zelle, ACH)이나 은행 간 전자이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제도 개선책을 요구하고 있다.
가장 핵심은 우편 수표를 전자화하는 것으로 정부 수표를 전자 직불카드나 직접 입금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우체국 내부 직원 관리도 강화해야 하는데 우편배달부와 우체국 직원들을 대상으로 해서 정기적인 신원 검증, 감시 시스템 보강 등을 해야 한다.
우편 보안 인프라를 확대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이어서 CCTV와 전자 우편함, 추적 장치 등 첨단 기술 도입이 시급하다.
이번 사건을 맡은 연방 판사 역시 선고에서 국민들 신뢰를 저버린 내부자 범죄라며 강력히 비판했다.
이번 사건은 단순히 우체국 직원의 개인 일탈이 아니라, 연방 우편·금융 시스템의 구조적 취약성을 드러낸 사례로 분석된다.
특히 현금·수표 의존도가 높은 한인 사회에 직접적으로 위협이 될 수도 있는 만큼, 안전한 금융 거래 방식으로의 전환과 제도 개선이 매우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