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노동자 300명 이상이 미국 이민당국에 의해 체포·구금됐던 사태가 한미관계에 악영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미 연방의회측 분석이 나왔다.
연방 의회조사국CRS은 지난 12일 한미관계를 업데이트한 보고서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간 첫 정상회담의 긍정적인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한미 관계에는 도전과제가 남아 있을 수 있다며 도전 과제 중 하나로 이번 사태를 꼽았다.
CRS는 9월 4일 조지아주 한국 자동차 업체 현대의 제조 공장에서 진행된 이민 단속 작전으로 양자 관계에 대한 한국의 우려가 제기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미국 이민정책이 외국 투자를 통한 미국 제조업 일자리 확대라는 미국의 목표와 상충될 수 있다는 의문도 높였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그러면서 의회에 법안 하나가 계류돼 있으며 이 법안이 "한국 국적자에 대한 고숙련 비자를 제공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해당 법안은 영 김 연방 하원의원이 지난 7월 119대 의회 들어 재발의한 것으로 연간 최대 1만5천개의 한국인 전문직 취업비자E-4를 발급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CRS는 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처가 한국의 수출 지향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집중하기 위해 주한미군을 부분적으로 재배치하려는 움직임이 알려지면서 대선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중국을 자극하지 않겠다'고 밝힌 이 대통령의 의지가 복잡해질 수 있다고 짚었다.
CRS는 아울러 많은 한국 전문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정책을 개발하면서 한국 정부를 우회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25일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양국 정상은 주요 발표를 하지 않았지만, 한미 관계의 강력함과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이번 정상회담이 공동 방위비용 분담, 주한미군 병력, 대만사태를 포함한 중국의 위협에 집중하기 위해 주한미군을 재편하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의향 등 일부 잠재적 동맹 이슈를 해결하지 못한 채 남겨뒀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