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제2차 세계대전 종전기념일(전승절) 77주년을 맞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서방의 공세에 대한 선제 대응이었다며 전쟁의 책임을 서방에게 돌렸다.
다만 당초 전승절 메시지로 예상됐던 전면전 선포나, 전쟁 승리 선언 이후 휴전 협상과 같은 내용은 찾아볼 수 없었다. 푸틴 대통령이 사실상 ‘현상 유지’ 카드를 꺼내 들며 전쟁은 지속하되 전쟁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처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모스크바의 붉은 광장에서 열린 전승절 행사에서 “지난해 말부터 서방은 돈바스와 크림반도에 대한 공격을 공개적으로 준비했다”며 “미국과 그 동맹국들은 계속 위협을 가해오고 있었고 이는 날로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서방은 우크라이나에 핵무기를 도입하려는 등 우리의 안보를 위협했다”며 “서방의 계획은 우리로 하여금 우크라이나에 군사 개입을 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의 친러시아 반군 세력에 대해서는 “여러분은 여러분의 조국과 그 미래를 위해 싸우고 있다”며 “러시아를 위해, 승리를 위해, 만세”라는 구호를 외치며 연설을 마쳤다.
가디언 등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이 새로운 군사작전에 대한 내용을 밝히지 않은 이유는 전쟁이 장기화되며 러시아군의 동력도 떨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러시아군은 전쟁 초기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키예프) 장악에 실패한 뒤 75일 동안 동남부에 전력을 집중했지만 성과를 올리지 못했다. 사실상 러시아가 확전과 휴전을 택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전승절에 전쟁의 정당성을 강조하면서 지금과 같은 상황을 이어나갈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CNA 싱크탱크 선임 분석가인 제프리 에드먼즈는 “
서방의 제재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는 점도 러시아로서는 고민이다. 미국을 포함한 주요 7개국(G7) 정상들은 이날 러시아산 석유 수입금지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G7 정상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러시아 석유수입의 단계적 중단 혹은 금지를 통해 러시아 에너지에 대한 의존을 점진적으로 중단할 것을 약속한다”고 밝혔다.
게다가 ‘러시아의 장기적 약화’를 공언한 미국은 별도의 추가 제재안도 발표하며 러사아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백악관은 성명을 통해 러시아 국영 가스기업인 가스프롬의 금융자회사인 가스프롬은행의 고위 경영진 27명과 러시아 최대 금융기관인 스베르방크 경영진 8명, 러시아 산업은행 및 자회사 등 10여곳을 추가 제재대상에 올린다고 발표했다.
서방 고위인사들은 전승절에 맞춰 우크라이나를 방문하며 힘을 싣고 있다. 이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부인인 질 바이든 여사가 예고 없이 우크라이나 서부 국경마을을 전격 방문해 미국의 지원 의지를 과시하고 연대감을 강조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인근지역인 이르핀을 깜짝 방문했다. 세계적인 록밴드 U2의 리드싱어 보노도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수도 키이우의 지하철역에서 버스킹을 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