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中매체, 尹정부에 “대중 압박 동참 땐 한국 이익·경제 발전 훼손”


중국 관영 매체는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한 10일 한국 정부가 미국의 대중 압박 노선에 동참하면 한국의 근본 이익이 훼손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들은 또 중국의 핵심 이익이 걸린 사안에 있어선 입장 변화나 양보는 없다고 밝혔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 환구시보는 이날 사평에서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 한국이 동북아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이미 윤곽이 잡혔지만 불확실성은 여전히 크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은 한국을 중국 억제 진영에 합류시켜 한·중 관계를 한·미 관계에 종속시키려 한다”며 “이는 한국의 근본 이익을 훼손하고 경제 발전 추세를 훼손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또 “미국은 한국을 인도·태평양 전략의 포석으로 만들고 싶어 한다”며 “이것이 한국의 대중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매체는 “미국의 압박이 거세지면서 한국의 전략적 공간이 크게 좁아졌다”며 “그러나 한국이 독자적인 자주 노선을 견지하는 한 한국 국민의 근본 이익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환구시보는 또 “중국은 한국과의 관계를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성의를 보여왔다”면서도 “그러나 중국은 주요 이익과 우려와 관련된 민감한 이슈에 대해선 어떠한 입장 변화나 양보도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인수위 핵심 정책 과제에 사드(THAAD) 추가 배치가 포함돼 있지 않았다는 데 주목하면서 “이는 한국이 중국과의 협력 관계를 유지, 발전시킬 필요가 있으며 새 정부 역시 상호 존중과 협력을 바탕으로 중국과의 외교를 촉진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중국 전문가들도 비슷한 견해를 내놨다. 쑤하오 중국 외교학원 전략평화연구소 주임은 중국신문망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갈등 상황에서 미국은 인도·태평양 동맹국의 관계 강화와 쿼드(Quad) 플러스 준비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쿼드 플러스의 우선 순위가 바로 한국”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은 미국을 향하고 있고 미국이 이끄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의 친미적 정책은 전략적 선택이자 취임 이후 최대 도전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쿼드는 미국, 일본, 호주, 인도 4국이 참여하는 안보협의체로 미국은 이를 확대할 구상을 갖고 있다.

쑤 주임은 또 “윤석열 정부는 보수 정권의 전통을 이어 한·일 관계를 개선할 것”이라며 “미국의 중재까지 더해지면 양국 관계는 훈훈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