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스웨덴·핀란드, 중립국 전통 깼다…푸틴 “위협에 대응”


스웨덴 정부가 16일(현지시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신청을 하기로 공식 결정했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들 국가에 나토 군사자산이 배치되면 러시아의 합당한 대응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로이터, AFP통신 등에 따르면 마그달레나 안데르손 스웨덴 총리는 이날 “정부는 나토에 스웨덴이 나토의 회원국이 되기를 원한다고 알리기로 결정했다”면서 “나토 주재 스웨덴 대사가 곧 나토에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안데르손 총리는 이날 스웨덴 의회에서 열린 안보 정책 토론 뒤 의회 다수가 나토 가입에 찬성했다면서 “스웨덴과 스웨덴 국민에게 최선은 나토 가입”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는 우리나라의 안보 정책에서 역사적인 변화”라고 평가했다. AP통신도 스웨덴의 이번 결정이 200년이 넘는 군사적 비동맹 이후 나온 역사적인 전환이라고 평가했다.



스웨덴의 조치는 오랜 기간 지켜온 군사적 비동맹 노선에서 입장을 바꾼 것으로, 이웃 국가 핀란드의 나토 가입 신청 발표에 이어 나왔다. 양국은 그동안 군사적 비동맹주의 정책에 따라 중립적 입장을 지키며 나토에 가입하지 않은 채 나토와 협력 관계만 유지해왔다.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양국 국민 여론이 나토 가입에 우호적인 방향으로 변화하면서 논쟁이 촉발됐고, 결국 나토 가입 신청 결정으로 이어졌다.

핀란드 정부는 전날 나토 가입 신청을 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핀란드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지만, 이는 형식적인 절차라고 AP통신은 전했다.

19세기 초 나폴레옹 전쟁 이후 군사적 중립 노선을 견지해온 스웨덴 역시 1949년 나토 출범 당시부터 비동맹 노선을 선언했다. 스웨덴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 국면에도 국제무대에서 다자외교와 핵군축에 중재자 역할을 맡아왔다.


러시아는 이들 국가에 나토 군사자산이 배치되면 합당한 대응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모스크바에서 열린 옛 소련권 군사·안보협력체 집단안보조약기구(CSTO) 정상회의 연설에서




푸틴 대통령은 이어 “나토는 본질적으로 단 한 나라(미국)의 대외정책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면서 “이 모든 상황은 그러잖아도 복잡한 국제 안보 정세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나토는 유럽·대서양 지역의 틀을 벗어나 점점 더 적극적으로 국제 문제에 개입하고, 안보 분야 국제상황을 통제하면서 다른 지역에도 영향을 미치려 애쓰고 있다”면서 “이는 당연히 러시아의 추가적 주의를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푸틴 대통령이 연설에 나선 CSTO는 옛 소련에 속했던 러시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6개국이 결성한 군사·안보 협력체로, 나토와 비교되긴 하지만 규모나 예산은 훨씬 적다. 이번 정상회의는 핀란드와 스웨덴이 나토 가입 신청을 하겠다고 공식화한 민감한 시기에 열렸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