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국가의 절반 이상이 '베이더우(北斗)위성항법시스템(BDS)' 관련 제품, 기술 및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정부는 2020년 7월 31일 새로운 BDS-3 시스템을 전 세계 사용자에게 공식 개방했다. 현재 BDS는 총 45기의 위성을 운영하고 있으며 24시간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함과 동시에 교통 등 분야에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2022 중국 위성항법 및 위치 서비스 산업 발전 백서'에 따르면 BDS을 핵심으로 한 중국의 위성항법 및 위치 서비스 산업 총생산액은 지난해 4690억 위안(약 87조9937억원)에 달했다.
중국 위성항법시스템 관리사무실에 따르면 BDS는 중국의 도로 네비게이션 뿐 아니라 운송•농업•임업•어업•전력•통신 등 산업과 융합돼 관련 산업의 발전에 탄력을 더해주고 있다.
중국은 전 세계 이용자에게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고 긴급 구조 및 조난 경보를 지원하기 위해 세계 전역을 커버하는 공공 긴급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했다. 해당 플랫폼은 PNT(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글로벌 메시징 통신, 국제 수색•구조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DS는 토지 권리, 스마트 농업, 스마트 항구 등 분야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다. 이는 아세안, 남아시아, 동유럽, 서아시아, 아프리카 등 지역의 경제사회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디지털뉴스센터 이세연 lovok@kmib.co.kr